earticle

논문검색

易의 先後天에 관한 硏究 - 鶴山 李正浩 先生의 易哲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about the ‘Theory of XiānHòutiān(先後天論)’ of ‘Yi(易)’ -Centrally Haksan(鶴山) Lee Jeong ho's Philosophy of 'Yi'-

역의 선후천에 관한 연구 - 학산 이정호 선생의 역철학을 중심으로 -

柳七魯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treatise, I will make clear the philosophy of ‘Yì(易)’ through the ‘Theory of XiānHòutiān(先後天論)’ of Haksan(鶴山). The ‘Yì(易)’ is the oldest of ‘Liùjīng(六經)’, and is called the Scriptures of Scriptures because of the other Confucianism Scriptures on the basis of this book, as before that is still being studied Throughout the era of in all countries. Usually Confucianism and Taoism are make up the main part of a school of the study of ‘Yi’, on the one hand we can’t forget about the art of divination. So the Research Directions are very various - for example, Yi is considered to be a book on divination or the prophetic books, ‘Túxiàng-Yi(圖象易)’, ‘Xiàngshǔ-Yi(象數易)’, ‘Yìlǐ-Yi(義理易)’ and ‘Xìnglǐ-Yi(性理易)’ and so on. Generally the ‘Túxiàng-Yi(圖象易)’ and the ‘Xiàngshǔ-Yi(象數易)’ are based upon the theme of ‘Xiāntiān-Yi(先天易)’, because that considers ‘FuXi's bāguà(伏羲八卦)’ and ‘Hétú(河圖)’ a source of ‘Yì-lǐ(易理)’. The ‘Yìlǐ-Yi(義理易)’ is based upon the theme of ‘Hòutiān-Yi(後天易)’, because that considers ‘Wén-Wáng's bāguà(文王八卦)’ and ‘Luòshū(洛書)’ a principle of reality. Also the ‘Xìnglǐ-Yi(性理易)’ is is based upon the theme of YīFú(一夫)'s ‘Zhèng-Yi(正易)’- that is ‘Finished-Yi(完成易)’. Haksan(鶴山) regards the FuXi's Yi as the ‘Xiāntiān-Yi(先天易)’ and the Wén-Wáng's Yi(文王易) as the ‘Hòutiān-Yi(後天易)’, on the basis of upper three Yi. But if the ‘Third Yi’ - YīFú(一夫)'s ‘Zhèng-Yi(正易)’ - was became ‘Hòutiān-Yi(後天易)’, Wén-Wáng's Yi(文王易) is changed the ‘Xiāntiān-Yi(先天易)’. Thus these three Yi has an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the ‘birth’, the ‘growth’ and the ‘achievement’. And ‘FuXi's Yi(伏羲易)’ is ‘Xiāntiān-Yi(先天易)’ vis-a-vis ‘Wén-Wáng's Yi(文王易)’ and ‘Wén-Wáng's Yi(文王易)’ become ‘Hòutiān-Yi(後天易)’ vis-a-vis ‘Xiāntiān-Yi(先天易)’. Finally ‘FuXi's Yi(伏羲易)’ and ‘Wén-Wáng's Yi(文王易)’ are became ‘Xiāntiān-Yi(先天易)’ vis-a-vis Yi'-YīFú(一夫)'s ‘Zhèng-Yi(正易)’. The greater part of classical scholars of the old days paid no attention to ‘Xiàngshǔ-Yi(象數易)’ but Shàoyōng(邵雍) exposed XiānHòutiān(先後天), and suggested ‘birth’ and ‘growth’. However, his XiānHòutiān(先後天) is disengaged Xiāntiān(先天) and Hòutiān(後天) by reason of cherish ideals of Xiāntiān(先天). But Through the First and the Second Yi, Haksan(鶴山) exposed the Third Yi - ‘Zhèng-Yi(正易)’ - in Chapter 6 of 「Shuōguàzhuàn(說卦傳)」. Thereby he establish a link between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Yi as the Guà(卦) of the ‘birth’, the ‘growth’ and the ‘achievement’. And he made way that can interpret the Second Yi through the First Yi, can interpret the Third Yi through the Second Yi, can interpret the First Yi and the Second Yi through the Third Yi. Besides largely, he suggested world view that is the Second Yi and the Third Yi unite into one and ‘finished GuàTú(完成卦圖)’.

한국어

본 논문은 鶴山先生의 ‘先後天觀’을 통하여 그의 역철학을 밝히고자 한다. 『易』은 六經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일 뿐만 아니라 다른 경전의 원리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경전 중의 경전으로 그 위상을 점하여 왔으며, 이후로도 한문 문화권의 모든 나라에서 전시대에 걸쳐 줄기차게 해석되고 연구되어 왔다. 따라서 그 이름도 여러가지이고, 해석하는 방법도 다양하여 그 종류도 헤아릴 수 없다. 대개 易學의 계통으로는 ‘유가계통의 역학’과 ‘도가계통의 역학’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易術’로 응용되는 ‘占術’계통도 빼놓을 수 없다. 따라서 그 연구의 방향도 참으로 다양하여 『역』을 점서나 예언서로 보거나, ‘圖象易’, ‘象數易’, 또는 ‘義理易’이나 ‘性理易’으로 구별할 수 있다. 도상역이나 상수역은 대체로 ‘伏羲八卦’나 그의 河圖를 易理의 원천으로 보아 ‘先天易’을 주제로 하고, ‘의리역’은 ‘文王八卦易’인 洛書를 현실 실현원리로 보아 ‘後天易’을 주제로 한다. 또한 ‘성리역’은 ‘完成易’인 一夫의 ‘正易’을 주제로 한다. 鶴山先生은 위의 세 易에 근거하여 伏羲의 역을 先天易으로, 文王의 역을 後天易으로 간주하지만, 제 3의 역인 일부의 『정역』을 연결하면서 후천역인 문왕의 역이 선천역으로 바뀌고, 일부의 『정역』이 후천역이 된다고 한다. 따라서 이 세 역은 ‘生․長․成’의 생성적 유기관계를 가지고, 복희의 역은 문왕의 역에 대한 선천역이고, 문왕의 역은 선천의 후천이 된다. 결국은 후천역인 일부의 『정역』에 대하여는 복희의 역과 문왕의 역은 함께 선천역이 된 셈이다. 先儒들 일반이 상수역학적 이해를 소홀히 하던 중, 그래도 소옹이 선후천을 드러내어 生長의 역을 말하고 있지만, 理想을 선천에 두기 때문에 ‘선천’과 ‘후천’이 유리되는 단조로운 선후천인데 반하여, 학산은 一․二易을 통하여 三易인 『정역』(未形未顯者)을 「설괘전」 6장에서 드러냄으로써 제1역(伏羲八卦), 제2역(文王八卦), 제3역(一夫八卦)이 서로 유리될 수 없는 생․장․성괘로 연결하여 1역을 통하여 2역을, 2역을 통하여 3역을 해석할 수도 있고, 역으로 제3역을 가지고 제2역을, 제2역을 가지고 제1역을 해석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될 뿐 아니라 크게는 제2역과 제3역이 하나가 되는 完成卦圖로 실현되는 세계관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언
 2. 先儒의 先後天觀
 3. 邵雍의 先後天觀
 4. 鶴山先生의 先後天觀
 5. 맺는 말
 참고자료
 Abstract

저자정보

  • 柳七魯 류칠노. 한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