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2세션 동서양 사상에서 공공행복의 담론

출세와 입세― 남조 유효표의 행복 추구

원문정보

出世與入世—南朝劉孝標的幸福追尋

임백겸, 갈소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pre‐Cin period, there have been many Chinese perspectives on “happiness.” Confucianism believes that it should have virtue as its basis in the pursuit of longevity, wealth/nobility, health, and a natural death at the end of long years. Daoism believes in the philosophy of fortune and misfortune alongside each other, thus those who seek fortune or already have it must always be respectful and considerate to maintain good fortune. The true achievement of immortal life,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virtue, merit, and speech, is the peerless fortune in life. However, because of the objective environment, there are many variables that cannot be predicted, making it difficult for people to understand the happiness of “three immortal achievements”. Therefore, since the Han and Wei dynasties, the more practical pursuit of happiness is for generations to possess noble positions and wealth. Regardless of how dynasties change and how wars and uprisings occur, it is necessary to maintain family fortunes. Till the present time, the significant index of “Happiness” in Taiwan depends on the bad/good conditions of family, economy, work and pressure of life based on the surveys made by Happy City Association. In the Nan dynasty, a learned scholar Liu Xiaobiao grew up in wartime years, gradually ended up in the Northern Wei dynasty, and even joined a monastery with his mother. Later, he returned to the lay world, braved dangers with his elder brother to escape to the South. He did not encounter a good ruler in the Ci and Liang dynasties, resulting in his unhappiness. In the Preface, he compared himself to Feng Yan of the Eastern Han dynasty, with “three similarities and four differences.” Apparently, he was less fortunate than previous sages. Hence, he chose to retreat to Mount Jinhua as a hermit and live out the rest of his days without attempts and pursuits. Liu Xiaobiao turned from a monastic life to the lay world, and ultimately retreating to the mountains. This conforms to the people’s pursuit of a harmonious and peaceful life in insecure political situations in the Wei and Jin dynasties. When people are unable to make the world better, then they may as well find happiness for themselves, returning to the Daoist idea of “people all pursue happiness, I pursue my own completion”. Without a mind for political advancement, people can be free between heaven and earth, freely creating a different kind of happiness. A view of Liu Xiaobiao’s life shows that it is a microcosm of scholar‐officials in China.

한국어

선진시대이래 중국 사람이 ‘행복’에 대한 관점은 유가에서 볼 때 덕을 기초로 장수와 부귀, 건강 등을 추구하고 천수를 다하는 것이며 도가 사상으로는 화와 복이 서로 의존하고 전환하다는 이치 를 밝힘으로써 자구다복을 해야 하는 한편 이미 행복 속에 있는 자는 항상 경신해야 여분을 유지 하고 오랫동안 평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명의 불후― 입덕, 입공, 입언을 성취할 수 있다면 일 생에 지고 지상의 행복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객관적 환경을 고려할 때 수많은 예측할 수 없는 변 수로 인해 “삼불후”를 이해하고 터득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한위(漢魏)이래에 잠영 귀족들이 추구 하는 더욱 현실적인 행복은 대대손손 작위와 봉록을 누리고 왕조 교체와 빈번한 전란과 무관하게 가문의 번창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여태까지 대만에서 행해진 행복 도시 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가 정과 경제, 직장 대우의 우열, 삶에서의 스트레스 정도 등이 여전히 민중들이 ‘행복감’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남조 때 박식한 문인 유효표가 어린 나이에 상란을 겪었고 북위(北魏)에 유우했 으며 어머니와 함께 불문에 귀의하기까지 하였다. 나중에 다시 환속해서 형과 함께 여러 위험을 겪고 남쪽으로 도망 왔다. 제나라와 양나라를 통으로 경과해서 명군을 만나지 못 해 매우 침울하 였다. 그는 「자서」(自序)에서 자신을 후한(東漢)의 풍연(馮衍)에 비교해서 「그와 같은 점이 세 가지이고 다른 점이 네 가지이다」(同之者三,異之者四)로 선현보다 분명히 불행이 더 많았던 것 이다. 그러므로 마지막에 금화산에 들어가서 은거하면서 영위하고 바라는 것이 없는 만년을 보냈 다. 유효표가 출가에서 적극적인 입세(入世)로 전환하다가 끝에 산림에 은일한 것이 위진(魏晉)이 래 사람들이 안점감이 전혀 없는 정치 국면 속에서 한마음으로 조화롭고 평온한 삶을 추구하고 추 세에 알맞은 것이다. 천하를 구제할 수 없다면 자신만을 올바르게 하고 도가의 「온 세상 사람들 은 모두 행복을 추구하지만 나는 유독히 보전을 구한다」(人皆求福,己獨曲全) 는 이념에 되돌아 가서 벼슬하는 마음을 버리고 자유자재의 신심(身心)으로 천양지간에 유유하게 떠도는 것이 미상 불 다른 일종의 행복이 아닐 수 없었다. 유효표의 생애를 살펴보면 그것이 옛날 중국 사대부의 축 소판이기도 하다.

목차

국문초록
 一、前言
 二、先秦至六朝幸福觀的流衍
 三、劉孝標生平的不遇
 四、劉孝標託身山林的幸福
 五、結語
 引用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임백겸 Lin, Po‐chien. 중화민국 동오대
  • 갈소휘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