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세션 I

소셜 미디어 소통의 정치경제학(요약)

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는 인터넷과 연결된 PC나 또는 스마트폰을 통해 사람들이 자 신의 사고와 의견, 경험, 시각 등을 서로 공유하고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커뮤니케이션 공간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문자와 그래픽, 소리와 동영상 등 다 양한 형태의 정보를 교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소셜 미디어는 이동중 정 보 전달과 수신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비쿼터스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구현한다. 소셜 미디어는 기술적으로 접근이 매우 용이하고, 사람과 정보를 연결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웹 기반의 기술을 사용하여 사회적 상호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공 간이다. 소셜 미디어 이용자는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제한 없이 커뮤니케이션하고, 컨텐츠 소비자는 물론 컨텐츠 생산자로서도 활동한다. 소셜 미디어(Social media)에 해당하는 서비 스 유형으로 블로그(Blog)를 비롯해 소셜 네트워킹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위키(Wiki), 유투브의 손수제작물(UCC),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의 등장 배경으로 기술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소통적, 정치적 배경을 들 수 있다. 첫째, 기술적 배경은 정보 통신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융합을 비롯해 웹 기 반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정보 공유와 네트워킹 기능이 확대된 점이다. 즉 웹 2.0 기반 기 술인 매쉬업(Mash-up), REST, FOX, XML 등과 상호 작용 웹 애플리케이션 구성 스타일 인,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사용 등은 소셜 미디어의 기술적 가능성 을 실현시켰다. 둘째, 사회적으로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중심의 공동체가 형성되었 다. 중세 봉건사회가 주로 지연, 혈연 중심의 공동사회였다면 근대 자본주의 사회는 조직의 이윤추구 목표를 달성하는 회사 중심의 이익사회에 해당한다1). 하지만 현대사회에서 정보 와 커뮤니케이션의 비중이 커지면서 네트워크 사회가 열렸고 이에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미 디어로 소셜 미디어가 부각됐다. 셋째, 문화적 측면에서 인터넷의 대중화, 디지털 카메라와 음악, 동영상 저장 기능을 갖춘 스마트 미디어는 개인을 단순한 콘텐츠 소비자에서 생산을 병행하는 Prosumer(프로슈머, 생비자)로 전환시켰다. 이에 따라 개인의 문화적 역량이 확대 됐다. 넷째, 경제적으로 기업의 경쟁 심화와 자동화 기술의 발달에 따라 상품 생산과 마케 팅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게 됐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의 활용 능력은 경제적 성과와 밀접히 연관된다. 다섯째, 정보사회에서 사람들 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가 확장되면서 다양한 사람과의 친교 욕구와 자기표현욕구가 증대 하므로 이를 충족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적극 수용하게 된다. 여섯째, 정치적으로 민주주 의 실천을 위해 수많은 시만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여론을 형성하고, 투표를 진행하는 데 소셜 미디어가 적합하다. 이처럼 소셜 미디어의 다양한 특징과 활용 가능성은 비교적 짧 은 기간에 현대 사회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미디어로 부상하게된 배경이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는 사회 수용 과정에서 다양한 정치적, 경제적, 소통적 측면에서 영 향을 받으면서 성격을 형성하게 된다. 소셜 미디어 현상을 정치경제학적 접근 방법으로 분 석하면 사회의 중심 주체인 시민, 기업, 정부와 관련하여 구조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먼 저 소셜 미디어는 시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시민의 강화된 네트워크는 다시 소셜 미디 어의 가치를 높이는 점에서 상호작용한다. 이런 점에서 소셜 미디어는 시민 중심의 미디어 로 자리 매김할 수 있다. 다음에 소셜 미디어는 기업의 생산, 유통, 마케팅 도구로서 활용되 는 점에서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크다. 기업이 소셜 미디어의 활용에 의해 영향을 받고, 소셜 미디어 역시 기업의 활용에 의해 가치가 증가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므로 소셜 미디어는 기업 중심의 미디어 성격을 띤다. 마지막으로 소셜 미디어는 정부의 여론수렴, 홍보 미디어 로서 그리고 효과적인 선거 미디어로 활용되므로 행정을 원활하게 한다. 정부가 소셜 미디 어를 적극 활용하고, 소셜 미디어 역시 정부와 더불어 그 역할이 확대되는 방식으로 상호작 용한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할 때 소셜 미디어는 정부 중심의 미디어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보듯이 소셜 미디어는 시민, 기업, 정부와 모두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면서 상호 가치를 증식시켜준다. 소셜 미디어는 시민, 기업, 정부를 연결하는 핵심 고리 축(hub)의 성 격을 지닌다. 왜냐하면 시민과 기업, 정부가 소셜 미디어에서 교차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셜 미디어는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 기업, 정부의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거나 또는 발 생시 조속한 협상와 타협, 중재에 나설 수 있다. 예컨대 시민과 기업의 갈등이 심화될 경우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직접 대화하거나 정부가 소셜 미디어와 더불어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는 시민과 정부, 그리고 기업과 정부의 갈등에도 비슷하게 나타날 것이 다. 요컨대 소셜 미디어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 기업, 정부의 소통을 촉진하고, 사회 주체간 갈등의 예방 과,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 이처럼 긍정적인 소셜 미디어 기능은 어디까지나 특정한 주체 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 시민의 입장에 설 때 가능하다. 왜냐하면 기업과 정부의 소셜 미 디어에 대한 부당한 간섭과 통제는 소셜 미디어의 정보 창출과 유통, 의견 소통, 여론 형성 을 왜곡할 것이기 때문이다. 시민을 위한 소셜 미디어 소통 구조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정치 적으로 규제와 간섭을 최소화하고, 경제적으로 특정 기업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고, 시민 누 구나 쉽게 소셜 미디어에 접근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이와 함께 시민은 소셜 미디어의 이용 자로서 상대방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자율적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형성하고, 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저자정보

  • 이진로 영산대 신문방송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