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mpirical Flood Risk Assessment in Mid·Small Catchments, Upper Geum River
초록
영어
The estimation of flood frequency in small and mid sized catchments has been remained as difficult problems due to lack of observed data.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appropriate relationships between observed maximum peak Flood(Qobsmax0211) in the period of 2002-2011 and the Catchment Characteristics(CCs) for predicting stream flood at mid/small sized ungauged catchments.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7 representative CCs(A, ALTBAR, Rf, D, SAAR8110, FARL, and CN2007) and the 16 Qobsmax0211, upper Geum River regio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with Jackknife approach is employ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 the best relationship(regression model) showing acceptable performances; 5 catchments have the -2%~5% of the flood estimation error and 3 catchments have less than 2% error rate. The validation of the derived relationship (Qobsmax0211-CCs) at the Sangyeo catchment shows an acceptable performance of 0.5% error rate in flood prediction.
한국어
중·소규모 유역의 홍수 위험도 평가는 관측 홍수량 자료의 부족으로 여전히 어려운 문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청댐상류 및 미호천의 16개 중·소규모 유역을 대상으로 2002-2011년 기간의 관측 첨두홍수량 자료와 유역의 유역특성인자와의 관계식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홍수 위험 평가 방안을 제시한다. 유역의 면적, 평균표고, 수계밀도, 형상계수, CN2007, SAAR, FARL을 상관관계분석 및 수문학적인 고려를 통하여 대표 유역특성인자로 선정하였다. 선형회귀 관계식 추정 시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잭나이프 방법(Jackknife method)을 적용하였으며 모든 유역에서 가장 좋은 모형성능을 보이는 관계식을 선정하여 16개의 유역의 위험홍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2002년-2011년의 관측홍수량과 비교한 결과 16개 중 5개의 유역이 5%이내의 오차율을 보였으며 그 중 3개의 유역은 2%이내의 오차율을 나타냈다. 또한 산계유역을 대상으로 선정된 관계식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오차율이 0.5%로 관계식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대상 유역의 5개 유역에서 최근 설계홍수량을 초과하는 홍수를 경험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 위험도 평가에서 이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중·소규모 유역의 홍수 위험 평가 및 관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대상연구유역
Ⅲ. 대표 유역특성인자 산정
Ⅳ. 유역 홍수 수문특성 분석
1. 금강 상류 유역의 홍수 수문특성
2. 2002-2011년 기간의 관측 최대홍수량(Qobsmax0211)
3. 확률빈도 100년의 설계홍수량(Qpromax100)
Ⅴ. 대표 유역특성인자에 따른 최근 년도(2002-2011)의 첨두홍수량의 경험식 산정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