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rofessional supports that classroom teachers are currently receiving and prefer for solving exceptional learners' academic and behavioral problems in inclusive classroom. From Inchon and Kyeonggi province, 13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88 middle school teachers answered the survey ques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most of participating teachers needed professional supports in dealing with academic and behavioral problems of exceptional learners, but they were getting those supports mainly from their colleague teachers. Those supports were 'a little effective' at most, though it was difficulty to evaluate objectively. The cases were very rare that teachers got useful professional consultations from professional journals, books, or conferences. The teachers preferred such professional supports as easy to access, effective, and consistent. Any support system for teachers in inclusive or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must be easily accessible, provide real solutions, and last a long term.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교사들이 학업지도와 문제행동 대처 측면에서 특수아 지도와 관련하여 전문가 지원을 어떻게 받고 있고, 또 이들이 선호하는 전문가 지원 형태는 어떤 것인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인천과 경기 지역의 초등과 중등 교사 각각 131명과 188명 등 모두 319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연구에 참여했던 대부분의 초등 및 중등 교사들은 학업지도나 특히 문제행동 대처 측면에서 전문가의 지원을 매우 필요로 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대부분 동료 교사들로부터 필요한 조언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조언들의 효과는 정확하게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는 없었지만, ‘약간 성공적이었다’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현장의 교사들이 필요한 전문가 조언을 주로 동료교사로부터 얻고 있는 반면, 전문 학술지나 전공서적 및 학술대회로부터 조언을 얻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교사들은 접근하기 쉬우면서도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형태의 전문가 지원을 선호했다. 통합학급이나 특수학급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전문가 지원 체제는 현장의 교사들이 필요할 때는 언제나 실제적인 도움을 지속적으로 줄 수 있는 형태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수집 및 분석
III. 연구 결과
1. 평소 전문가 지원을 받았으면 하고 느낀 경우
2. 전문가 지원을 받았으면 하는 영역
3. 도움 받기 원하는 전문가 유형
4. 평소 전문가 조언을 얻는 경로
5. 전문가 조언이 학업지도나 수업에 도움을 준 정도
6. 전문가 조언이 문제행동 대처에 도움을 준 정도
7. 전문가 지원의 이상적인 형태
8. 이상적인 전문가 지원 팀 구축 수준
9. 효과적인 전문가 지원의 3요소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