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s: (1) to discuss rationale of the establishment of teaching standards for rural school teachers, (2)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teaching standards and their core components, and (3) to suggest policy tasks for establishing and applying teaching standards for rural school educator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eaching standards for ru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basic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to all teachers. In addition, the standards should include particular knowledge and skills reflecting rural education context; ability to teach other subjects over their major subject, understanding rural educational conditions, ICT, ability to teach 'ways of lif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future policies regarding this issue should be focused on issues, including improving relations between teacher education and selection criteria, emphasizing teachers' context-dependent ability, improving partnerships between teacher education providers and schools. The issues identified in this study implied some policy tasks for rural education concerning this matter. They were developing teaching standards for rural school teachers, developing standardized curriculum for educating teachers working at rural schools, introducing an accreditation system for r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recognizing students' educational services at rural schools as credit point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introducing a special program for educating future rural teachers who are recommended by superintendents, a special employment policy for rural school teachers, and establishing professional teaching positions for rural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는 첫째,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 제정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둘째,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의 성격과 핵심 요건을 규명하며, 셋째,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의 제정 및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의 성격을 모든 교원에게 요구되는 공통의 자격기준을 기본 요건으로 하고, 농어촌 학교에서 요구되는 특수 요건을 추가 포함시키는 것으로 규정하며, 특수요건으로서 다교과 지도 능력, 현장 적응 능력, 교과교육 정보화 능력, ‘삶의 기술’ 지도 능력 등을 제시하였다.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의 제정 및 적용을 위한 정책방향으로 교사교육과 선발의 적합성 증진, 교사의 상황 의존적 능력 중시, 교원양성기관과 학교현장과의 연계성 강화 등을 제시하고, 정책과제로서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의 연구개발, 농어촌 학교 교원양성을 위한 표준형 교육과정 개발, 농어촌 학교 교원양성교육 인증제 도입, 사범대학생 농어촌 학교 교육봉사 학점제 도입, 교육감 추천 농어촌 학교 교원 위탁 교육제 도입, 농어촌 지역 교사 특별채용제 도입, 농어촌 학교 전문교사제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목차
II. 농어촌 학교 육성 및 우수 및 우수 교원 확보 정책 주장 검토
1. 교육인적자원부 정책방안
2. 농림부 정책방안
3. 시사점
III.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의 성격과 핵심 요건
1. 교원자격기준의 의미
2.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의 성격
3.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의 특수 요건
IV. 농어촌 학교 교원자격기준 제정 및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1. 기본 방향
2. 정책과제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