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관련변인에 따른 학생통제관

원문정보

Elementary Teachers' Pupil Control Ideology by the Related Variables of Science Teaching

박성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elementary teachers' pupil control ideology by gender, their degree, the number of year of teaching, science teaching method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Three instruments were used to investigate information concerning teachers' pupil control ideology,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A sample of 262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test, ANOVA, and Duncan post hoc methods were used to anlayze the results.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predictors of pupil control ide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eachers' pupil control ideology by the number of year of teaching, science teaching method,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The more experienced teachers had more custodial in pupil control ideology than the less experienced teachers. As teachers' levels including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were higher, teachers had more humanistic in pupil control ideology. Teachers using more the indirect science teaching method had also more humanistic in pupil control ideology. Discussions based on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관련변인들과 학생통제관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교사들의 성별, 학력, 교직경력년수, 과학교수법,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 과학교수태도수준에 따른 학생통제관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12개 초등학교에 재직한 교사 총 262명이 참가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학생통제관, 과학교수 자기효능감(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태도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성별, 학력, 교직경력년수, 과학교수법을 조사하기 위한 문항도 함께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조사한 변인들에 대한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1차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성별과 학력에 따른 학생통제관은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교직경력년수, 과학교수법,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 과학교수태도수준에 따른 학생통제관의 차이는 일원분산분석과 Duncan사후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변인들이 학생통제관을 얼만큼 설명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성별과 학력에 따라서는 학생통제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교직경력년수, 과학교수법,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 과학교수태도수준에 따른 초등교사들의 학생통제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사들의 경력년수가 적을수록,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이 높을수록,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이 높을수록, 과학교수태도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교사들이 비지시적인 교수법을 사용할 수록 교사들의 학생통제관이 인본주의적이었다. 교육개혁의 변화를 위한다면 교사들이 인본주의 학생통제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사양성 및 교사교육의 기회가 필요하겠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II. 이론적 배경
  1. 학생통제관의 의미
  2. 선행연구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IV. 연구 결과 및 해석
  1. 학생통제관과 조사한 변인간의 상관계수
  2. 성별에 따른 학생통제관
  3. 학력에 따른 학생통제관
  4. 경력에 따른 학생통제관
  5. 과학교수법에 따른 학생통제관
  6. 개인적 과학교수효능감수준에 따른 학생통제관
  7.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수준에 따른 학생통제관
  8. 과학교수태도수준에 따른 학생통제관
  9. 학생통제관의 회귀분석
 V. 결론,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성혜 덕성여자대학교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