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평가제도의 쟁점 및 발전적 대안 탐색

원문정보

A Study of the Improvement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이윤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ontroversial issues concerning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to present some developmental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 evaluation in Korea. Five controversial issues of teacher evaluation are analyzed from the aspect of ① the purposes of teacher evaluation, ② the contents of teacher evaluation, ③ the methods of teacher evaluation, and ④ the subjects of teacher evaluation. Several developmental directions for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were drawn out. ① The two purposes of teacher evaluation - 'promot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ssessing the accountability of teacher's job performance. - should be pursued in a harmonious manner. ② The contents of teacher evaluation should cover overall areas of teacher's professional teaching life in order to evaluate teacher's competencies and skills comprehensively. ③ The methods of teacher evaluation should cover both the formative evaluation method and the summative evaluation method. ④ The subjects who participate in teacher evaluation, in direct or indirect ways, should be not only principal, vice-principal, but also pee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or evaluating overall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skills of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교사평가제에 있어서 ① 평가 목적, ② 평가 내용, ③ 평가 방법, ④ 평가자 등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살펴보고, 교사평가제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교사평가제 발전의 기본 방향을 ① 교사평가의 목적인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조장하는 목적’과 ‘교사의 직무 수행과 관련된 책무성을 확인하는 목적’ 2가지를 모두 조화롭게 추구하는 방향, ② 교사평가의 내용이 가능한 ‘교사의 교직생활 전 영역과 관련된 능력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향, ③ 교사평가의 방법이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2가지를 모두 조화롭게 추구하는 방향, ④ 교사평가에의 직간접적인 참여 범위를 가능한 ‘교사의 교직생활 전 영역과 관련된 능력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교장, 교감, 동료교사, 학생, 학부모 등 관련 집단으로 확대하는 방향 등으로 설정하여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I. 서론
 II. 교사평가제의 개관
 III. 교사평가제를 둘러싼 쟁점
 IV. 교사평가제의 발전적 대안
  1. 「평가의 목적」면에서 - 「1단계 평가 : 형성평가+2단계 평가 : 총괄평가」체제 구축
  2. 「평가의 내용」면에서 - 교직활동에 대한 종합적이고, 교사의 특성을 반영한 평가 체제 구축
  3. 「평가의 방법」면에서 - 「절대평가+상대평가」체제, 평가결과 본인에게 Fdddback 체제 구축
  4. 「평가 참여자」면에서 - 교장ㆍ교감ㆍ동료교사ㆍ교사 자신ㆍ학생ㆍ학부모의 교사평가 직간접 참여체제 구축
 V. 맺는말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교사 (자기) 평가 도구(예시안)
  [부록 2-1] 나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도구(초등학생용) (예시안)
  [부록 2-2] 나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도구(중등학생용) (예시안)
  [부록 2-3] 나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도구(자유진술식) (예시안)
 ABSTRACT

저자정보

  • 이윤식 인천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