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학생들의 관점에서 본 공통사회 전공의 의미

원문정보

he Meaning of Common Social Studies Major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Studies Students in College of Education.

황상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mmon social studies major(the integrated course of social studie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studies students in college of education. For the solving, I select the one teachers college of Pioneer National University as the study location and tried to make the interpretive understanding the related phenomena with the methodology of ethnographic cas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ince the Common Social Studies Major composed of the basic or introductory courses of three existing social studies major, it has not uniqueness in quality and there is not responsible and administrative subject for the management of that curriculum. Students just understand the new major as the means of acquiring the premium points in social studies teachers appointment test, there can not be found the major identity of the Common Social Studies Major among students attending the course of new major. In sum, we can just find inconsistency which is remote from students real life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e new major. Because this inconsistency, the Common Social Studies Major can lead to the failure of the sense of the real identity as the Common Social Studies student. To solve the problems as abov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manage the curriculum of the Common Social Studies major not being separated from the real life of students, and to construct the theory and reveal the nature of the Common social studies Major for bring up the expert the Common Social Studies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는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공통사회 전공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기존의 역사, 지리, 일반사회 전공으로 분리되어 운영되던 사회과에서 통합적 성격의 공통사회 전공의 신설로 인해 사회교육과 학생들은 공통사회 전공을 1,2학년에 걸쳐 복수전공으로 이수하고 있다. 그러나 공통사회 전공의 커리큘럼의 성격에 대해 학생들은 혼란스러움과 수박 겉핥기라는 비유를 통해 공통사회 전공이 내용적 체계를 결여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실제 삶의 장과 유리된 공통사회 전공 운영방식으로 인해 학생들은 공통사회 전공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공통사회 전공에 대한 제한적인 효용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공통사회 전공을 통해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공통사회 전공의 운영 방식의 개선과 전공의 성격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개관
  2. 자료의 생성 및 분석
  3. 연구의 타당성
 III. 공통사회 전공에 대한 이해을 위한 기초적 논의
  1.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관련 연구
  2. 전국 대학의 공통사회 전공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비교
 IV. 사회과 학생들의 공통사회 전공 경험과 그 의미
  1. 공통사회 전공 커리큘럼에 대한 학생들의 경험
  2. 공통사회 전공의 의미
  4. 공통사회 전공 정체성
 V. 결론 및 제언 : 새로운 가능성의 기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상주 한국교원대학교 경제교육연구실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