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o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서지연, 엄정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their job satisfaction, whose subordinate factors also affects their productiveness about play. The Subjects were 260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struments were 2 questionnaires. The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was classified by the belief scale of instruction's efficacy and the expectation scale of instruction's result about play. The teacher job satisfaction was classified by motivational factors and hygiene factor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s result which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First, sub-fields of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and positive.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were affected by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such as achievement in teach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creased responsibility. Concerning play recognized by kindergarten teache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ir feelings of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and job satisfaction have meaningful correlation and especially, achievement in teach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ncreased responsibility are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beliefs about play.

한국어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은 놀이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 척도와 놀이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척도로 구분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으로 구분하여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교수성취감, 대인관계, 책임감 등의 직무만족 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들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만족도를 높여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 하였으며, 특히 유아교사교육 측면에서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실제적인 놀이교수 기술이나 구체적인 지식을 지도하여 놀이를 통한 교수행위에 대한 자심감과 직업에 대한 책임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III. 연구 결과 및 해석
  1.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2.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