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원 다면평가제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Multi Dimensional Teacher Evaluation

서정화, 송영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improvement measures on teacher evalu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teacher evaluation, background and its development, status quo of teacher evaluation, and implementation of multi dimensional evaluation in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in local government level. And also it was analyzed that present status of teacher evaluation system with a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al personnel rating scale, method, and operation system etc.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usefulnes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multi dimensional evaluation were identified and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and discussions, some implications could be drawn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apply the results of multi dimensional evaluation of each administrative institute in the area of confirmation rating and rating grade in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esent employment regulations to apply & imple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ersonnel. Third,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the ratio of the results of multi dimensional evaluation in promotion as well as providing various fringe benefits. Fourth, it is inevitable to take careful check and gradual approach to disseminate the multi dimensional evaluation. Lastly, it is very important to settle down the open and favorable evaluation atmosphere & culture for the multi dimensional evaluation.

한국어

이 연구는 교원 다면평가제의 의의를 고찰하고 그 활용현황을 분석하며, 다면평가제의 적용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면평가제도의 의미와 연혁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에서의 활용실태를 분석하며 현행근무성적평정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아울러 다면평가제도의 한계와 유용성을 분석한 다음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으로서는 선행 연구자료는 물론이고, 정부의 관련계획 및 관계법령을 분석하고 업무담당공무원에 대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 논의한 결과를 토대로 다면평가제도 활용의 확대를 위한 결론을 몇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평가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각급 행정기관에서는 다면평가 결과를 확인평정과 평정점 조정에 반영하는 일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공무원에게도 다면평가제도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공무원 임용령의 개정 등 필요한 절차를 밟아야 할 것이다. 학생교육을 직접 담당하는 교원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처음에는 학생과 학부모의 참여를 배제하는 방향에서 시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장, 교감의 승진을 위한 근무평정에 있어서는 교장임용제도 개선 요구와 관련하여 다면평가 결과가 반영될 수 있도록 심도있는 연구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앞으로 다면평가제도의 안정성과 공정성이 확인되면 승진심사 시 다면평가 결과의 반영비율을 크게 높이고, 각종 부가급부 제공 시에도 다면평가 결과를 적극 반영하는 일이 필요하다. 넷째, 다면평가 결과를 확대함하기 우해서는 치밀한 검토와 준비과정을 거쳐 점진적 접근을 하는 일이 긴요하다. 다섯째, 바람직한 평가문화의 조기정착을 위한 풍토조성을 병행하는 일이 필요하다. 다면평가의 목적 및 중요성을 조직구성원 모두가 숙지하고 실행할 수 있는 단계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
  3. 연구 방법 및 범위
 II. 다면 평가 제도의 의미와 연혁
  1. 다면평가제도의 의미
  2. 다면평가제의 근거 및 연혁
 III. 다면평가제도의 활용현황
  1. 정부의 다면평가제 활용현황
  2. 다면평가의 운영요령
 IV. 공무원 근무성적 평정제도 분석
  1. 일반직 공무원
  2. 교육공무원
  3. 근무성적 평정제도의 문제점
 V. 다면평가제의 유용성 탐색
  1. 다면평가제도의 한계
  2. 다면평가제도 활용의 확대 방안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정화 홍익대학교 교수
  • 송영식 홍익대학교 학연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