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men Immigrants

박지영, 이창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men immigrant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592 women immigrants in 10 cities and provinces of Korea. First, it was found that the women immigrants used approach coping more than avoidance coping, and the level of hope and positive wellbeing scored above the middle point. Second, approach cop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ope and positive wellbeing, but avoidance cop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wellbeing.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approach coping and positive wellbeing was testified.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between approach coping and negative wellbeing was also testified.

한국어

본 논문은 전국의 여성결혼이민자 592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 Baron과 Kenny의 매개 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접근대처를 회피대처보다 많이 사용하며, 이들의 긍정적 복지와 희망수준은 중간을 상회하였으나 부정적 복지는 중간보다 낮았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접근대처는 희망과 긍정적 복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부정적 복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회피대처는 희망과 긍정적 복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부정적 복지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접근대처와 긍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나 회피대처와 긍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넷째, 여성결혼이민자의 접근대처와 부정적 복지와의 관계에서 희망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의 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2 조사도구
  2.3 자료분석
 3. 연구의 결과 및 해석
  3.1 스트레스 대처, 희망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상관관계
  3.2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복지감과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지영 Ji Young Park. 고구려대학 다문화복지과 조교수
  • 이창식 Chang Seek Lee.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