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지털 경영

모바일 쇼핑동기와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

원문정보

Mobile Shopping Motives and Fashion Application Acceptance

이미진, 이규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pplication demand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long the growth of smart devices. Companies actively use the application as marketing tools. In particular, fashion businesses expect the improvement of customer loyalty and brand image by using the applications as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consumer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shopping motives and mobile shopping acceptance. Influence of such variables on perceived importance of various fashion application attributes was also accessed. Data from male and female respondents were analyzed for the empirical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mobile shopping motives were classified into convenience, ubiquity, impulsiveness and economic motives. Fashion application attribute was classified into contents, continuous management, design/visibility, downloading and community. Mobile shopping motive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shion application acceptance. Shopping motives and fashion application acceptance had significant impacts on perceived importance of various fashion application attributes.

한국어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기업은 애플리케이션을 마케팅의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패션기업은 애플리케이션을 소비자와 소통하는 수단으로 이용하여 브랜드 노출과 이미지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 사용증가에 주목하여 모바일 쇼핑동기를 알아보고, 소비자의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에 대한 지각과 패션애플리케이션의 여러 가지 속성에 대한 속성 중요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 결과, 모바일 쇼핑동기는 편리성, 편재성, 충동성, 경제성으로 구분되었고, 패션애플리케이션의 속성은 콘텐츠, 지속적 관리, 디자인/가시성, 다운로딩, 커뮤니티로 구분되었다. 모바일 쇼핑동기는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은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패션애플리케이션의 잠재적 사용자라고 할 수 있는 모바일 쇼핑 사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연구함으로써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않은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모바일 쇼핑동기
  2.2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
  2.3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
 3. 연구방법
  3.1 측정도구 구성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3 표본의 특성
 4. 연구결과
  4.1 모바일 쇼핑동기와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의 하위차원
  4.2 모바일 쇼핑동기와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의 관계
  4.3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중요도의 하위차원
  4.4 모바일 쇼핑동기가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4.5 패션애플리케이션 수용이 패션애플리케이션 속성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5.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미진 Mi-Jin Lee.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석사
  • 이규혜 Kyu-Hye Lee. 한양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