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질적논문

창의·인성을 강조한 초등체육 교수·학습 방법의개발 및 적용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ity and Character-emphasize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A Photo Elicitation Study

윤진경, 임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terpretive experience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reativity and character-emphasize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tudy period in the planning stages of research includ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during March 2, 2012 to September30th, 2012.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our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includes photo-elicitation interviews, non-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document collection. Data were analyzed and transcribed using constant comparison and triangulation of data sources until themes emerged.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and triangulation were used dur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o assure trustworthiness and credibility of resul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ere categorized. as 1) a castle in the air : the complex of the ambiguous words, 2) the burden hundredfold : sparkling creative teacher? a good teacher like gentleman, 3) superwoman and MacGyver's self-sufficiency, 4) 'a day time stopped' in the fantasy were categorized. In addition, the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1) good PE? Bad PE? strange PE?, 2) Asura Earl teacher with two faces, 3) practice makes perfec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을 강조한 초등체육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경험과 인식을 해석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이며 사진유도연구(Photo-Elicitation)로 설계되었다. 연구기간은 연구 계획 단계에서 자료수집과 분석을 포함하여 2012년 3월 2일~9월 30일 동안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J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명(남1, 여1)과 학생 4명(남2, 여2)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진유도기법을 활용한 심층면담, 비 참여관찰을 통한 현장기록, 그리고 관련 문서 수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기록 분석과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각도 검증법, 구성원 검토(member checks)와 전문가 협의(peer debriefing)과정을 거쳤다.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1) 뜬구름 잡기: 모호한 단어의 복합체, 2) 부담백배: 반짝반짝 창의적인 교사? 군자처럼 선한 교사?, 3) 슈퍼우먼과 맥가이버의 자급자족, 4) ‘시간이 멈춘 날’에 대한 환상으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경험과 인식은 1) 좋은 체육? 나쁜 체육? 이상한 체육?, 2) 아수라백작: 두 얼굴을 가진 선생님, 3) 실패의 왕에서 실천의 신으로 범주화 되었다. 따라서 체육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자료와 도구들의 개발이 요구되며 예비 및 현직 체육교사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창의․인성을 강조한 수업
  2. 교사의 경험과 인식
  3. 학생의 경험과 인식
 Ⅳ. 논의
 V.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윤진경 Yoon, Jin-Gyung. 국민대학교
  • 임현주 Im, Hyun-Ju. 국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