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젬스키 소보르(Земский Собор)의 형성

원문정보

The formation of Zemskii Sobortm

오두영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9집 2012.12 pp.275-30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has long been argued if Ivan IV had intention to compose political representative system as a reign system. But he only aimed to strengthen his own absolute soveriegn power. Why did he organize Zemskii Sobor despite already composed ‘Chosen council’? In the first half XVI century Muscovy was changing social economical backing and therefor creating new social class different from traditional feudal lass. This phenomenon was coming up to the new social classes. Until Ivan IV ascend the throne in 1547, the most powerful aristocratic clans engaged in a chaotic and brutal struggle for power. One after another, they seized control of the government only to fall victim to the intrigues of their rivals. The principal contenders were the Glinskiis and Belskiis, Ivan’s relatives through his mother, and the Shuiskiis, princes from Suzdal who dominated the Boyar Duma at the time of Vasilii's death. Those boyar enjoyed greater prestige and additional benefits of rule. But during the chaos of feuds, disgraces and executions, the dominant court clans made no attempt to weaken the royal administration, for they had no interested in doing so. Boyars could not rule or aspire to rul because of weakening their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 Boyar shared real autority with the soverign. Innercircles of Boyar in effect dominated the Muscovite court. All disagreement shall be dispell and total agreement and harmony shall be maintained among Boyars and princes. So, if tsar were to establish his own absolute soveign power, he must have weaken Boyar Duma’ political power. So Ivan IV tried to change its component. His effort to change its component had long continued after Elena’s death. The tsar addressed a combined meeting of the Boyar Duma and a church council on 27 Febrary 1549 and demanded that the great nobles stop oppressing the lesser nobles and peasants as they had during his childhood. He forgave them transgressions they had committed during his minority. When the boyars promised to obey him. The meeting of 1549 was the first of many occasions on which the tsar publicly met with ecclesiastical and lay leaders to announce his government’s policies.

한국어

이 논문은 16세기 전반기 바실리 III세 사후 진행된 궁정 권력 갈등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이반 4세의 정치개혁 과정의 일부로서 젬스키 소보르의 구성 動因을 살펴보고 있다. 15세기 말~16세기 전반기 러시아 사회에서는 근대로의 이행기적 경제 현상들이 발전함과 동시에 새로운 신분질서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이반 3세 이래 全러시아를 단일의 통치 체제로 통합하는 정치적 중앙집권화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정치적 중앙집권화의 초기 형태로 출현한 것이 신분제적 대의제 기구의 성격을 지닌 젬스키 소보르 였다. 젬스키 소보르가 16세기 모스크바 국가 정치사에서 어떤 역할과 성격을 지녔는가에 대해서는 19세기 후반 이래 많은 논의가 있어왔다. 그러한 논의들의 근거를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젬스키 소보르의 구성과 역할 그리고 짜르와의 역학관계와 더불어 무엇보다도 이반 4세가 젬스키 소보르를 구성하게 된 動因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16세기 후반에 젬스키 소보르는 단지 세 번 소집되었고 매년 그 역할과 기능이 달랐으며, 그 동안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그것을 서구적 의미에서의 대의제 기구로서 규정하는데 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보다 중요한 것은 이반 4세가 왜 젬스키 소보르를 구성하게 되었는가 였다. 이반 4세가 ‘젬스키 소보르’ 라는 새로운 국가통치기구 구성을 추진하게 된 배경은 우선 그 저변에 16세기 전반기 모스크바 국가의 사회 경제적 변화가 있었다. 15 말~16세기 전반기는 새로운 사회계층의 부상과 더불어 새로운 신분질서가 형성되고, 정치적으로 全러시아를 단일의 통치체제로 통합하는 중앙집권적 군주제를 지향하는 시기였다. 그러나 젬스키 소보르의 형성은 무엇보다도 16세기 30~40년대의 지배계층 내 첨예한 정치권력 갈등에 기인한 것이다. 15세기 말부터 이어져 온 대공의 중앙집권적 통치체제 강화 정책과 이에 대한 보야르 계층 및 공후세력 간 갈등이 초래한 새로운 통치 기구였다. 바실리 3세 이후 엘레나 섭정기를 거치면서 대공의 위상이 위협받는 상황이 지속되자, 이반 4세는 절대군주체제의 확립을 위한 국가통치체제의 개혁을 구상하였고, 그 결과 젬스키 소보르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이반4세의 중앙집권적 권력강화 의지와 그 정책을 명확히 드러냈던 것이 보야르 두마의 성원변화 모색이었다. 이반 4세가 대공의 중앙집권적 권력을 강화해 나가는데 가장 저항적인 구심체가 보야르 두마라고 판단한 이반 4세는 보야르 두마의 영향력을 약화시키지 않고는 자신의 실질적 권력을 강화하기 어려웠고, 따라서 엘레나 글린스카야 섭정기 이래 추진해 왔던 보야르 두마 성원의 변화를 모색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사회 경제적 배경
 Ⅲ. 궁정 내 권력 갈등
 Ⅳ. 보야르 두마 성원의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오두영 Oh, Doo Young. 강남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