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9ㆍ18사변’ 직후 중국지역 한인독립운동의 국제정치환경

원문정보

張 華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9집 2012.12 pp.149-16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ystem of Japanese capitalism faced an economic crisis by the Great Depression from United States in 1929. The economic crisis and social unrest shadowed the totalitarianism of Japanese Emperor system. The foreign expansion of Japanese imperialism based on development of capitalism also faced a crisis, and needed the ventage and scapegoat to change over from the crisis to the opportunity. The intention of Japanese Military to invade the China set an ultimate goal of ‘final war against United States’ and interrupt an unity of China constructing the base of invasion to Soviet Union. Moreover, the Japanese Military tended to convert to system of fascism which military take the lead in internal politics. These intentions of Japanese Military was adopted by Japanese people, because they expected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through wars. The financial circles concluded that the monopoly on the markets and resources in Manchuria is of help to overcome the Great Depression, and actively sympathized with the policy of Japanese Military to invasion to China. The Japanese imperialism which conquered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through 9ㆍ18 Incident provoked the ‘Huabei incident’ in February 1933, and this directly conflicted the vested interest of powers in China. The League of Nations and powers took a strong stance against Japan. But Japan seceded from the League of Nations and continued to invade the Huabei region. The relation between Japanese imperialism and United StatesㆍUnited Kingdom also became worsened, and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spread of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to center of China and South-East Asia made their relation outright hostile. Meanwhile, the Kuomintang government in China faced with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did not change its ‘line of non-resistance’ and they showed the paradox that concentrated on suppressing the Communist Party according to ‘the first internal security after stabbing outside’. This caused the resist of warloads and people in North-East China. The very Xi-an Uprising in 1936 converted this aspect. It was the chance that the Kuomintang government proclaimed the active anti-Japan through alliance with communist party, and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2nd Alliance between the Chinese Nationalist and Communist Parties. This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 in the first half of 1930 in china gave the expectations to Korean independent parties, which seemed to occur the Sino-Japanese war and US-Japanese war, and was the opportunity to stimulate the cohe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Korean independent parties.

한국어

1929년 가을 미국에서 시작된 경제공황으로, 일본자본주의 체제는 위기상황에 직면하였고, 경제적 위기와 이로 인한 사회 불안은 天皇制 전체주의 국가체제를 위협하였다. 자본주의 발달을 배경으로 한 일본의 제국주의 대외팽창 정책도 위기에 봉착하였고,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분출구와 희생양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중국동북지방 침략과 괴뢰 ‘滿洲國’의 수립이 현실화되었다. 일본 군부의 중국대륙 침략 의도는 ‘對美決戰’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중국의 통일을 저지하며, 對蘇戰略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국내정치를 군부가 주도하는 파시즘 체제로 전환시키고자 하였다. 이 같은 군부의 의도가 일본국민 일반으로부터 지지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은 전쟁을 통해 경제공황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특히 재계는 만주의 시장 및 자원 독점이 공황 극복에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군부의 대륙침략정책에 적극 동조하였다. 9ㆍ18사변을 통해 중국동북지방을 점령한 일제는 1933년 2월 ‘華北事變’을 도발하였고 이는 중국 관내지역에 설정되어 있던 열강의 이권과 직접적으로 상충되었다. 국제연맹과 열강은 대일 강경입장을 표명하였지만, 일제는 곧 국제연맹을 탈퇴하였고, 화북지방 침략을 중단하지 않았다. 일제와 미ㆍ영의 관계 역시 악화되기 시작하여, 中日戰爭 후 일제침략이 중국 관내지역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대되면서 전면적인 적대관계로 발전하였다. 이에 수반하여, 독일ㆍ이탈리아ㆍ일본의 동맹이 출현함에 따라, 국제정치상황은 파시즘과 반파시즘의 대립 체제로 전환되었다. 후발제국주의 국가들에 의한 선발 제국주의 국가에 대한 도전의 모습을 띠기도 한 이 체제는 제2차 세계대전의 발화점 노릇을 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제국주의시대의 종료’로 귀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일제의 중국침략에 직면한 중국국민정부는 ‘不抵抗路線’으로 일관하며, ‘先安內後攘外’ 노선에 따라 공산당 토벌전에 주력하는 모순을 자행하였다. 이는 중국동북지역의 군벌세력과 일반민중의 반발을 야기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국면을 전환시킨 것이 1936년 말에 발생한 ‘西安事變’이었다. 이는 중국국민정부가 공산당과의 연합을 통해 적극적인 항일을 선언하는 계기가 되었고, 중일전쟁 발발 후 실현되는 제2차 國共合作의 출발점으로 역할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1930년대 전반기 중국대륙에 드리워진 국제정치상황은 한인독립운동세력에게는 중일ㆍ미일전쟁의 개연성이 높아지리라는 기대감을 심어 주었으며, 한인독립운동진영의 단결과 재편성을 촉발시키는 계기로써 기능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9ㆍ18사변의 발발
 Ⅲ. 화북사변의 발발
 Ⅳ. 제7차 코민테른 대회와 인민전선 전술 채택
 Ⅴ. 중국국민정부의 항전노선
 Ⅵ. 중국공산당의 항전노선
 Ⅶ. 서안사변과 국공합작
 Ⅷ.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張 華 장 화. 中國 中央民族大學 歷史文化學院 世界敎硏室 主任.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