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헌법상 면책특권의 제한 가능성과 방식

원문정보

Possibility and Methode of Limitation of Immunity

이준일

유럽헌법학회 유럽헌법연구 제12호 2012.12 pp.263-28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mmunity is the privilege that is to be recognized to legislators. This privilege is recognized for legislators in order to correctly perform legislative activities and parliamentary control activities as a representative of the entire population. Therefore, it makes sense that the scope of the immunity is widely understood as a general rule.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rol of the immunity is to be fulfilled by the election. But the restriction of the privilege is necessary because it is not the absolute privilege. It may need to be limited above all by honor or privacy rights, and the public interest such as prohibition of distributing false facts. These conflicting rights or public interest and the immunity are to be realized harmoniously. To do thi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which is essentially balancing of legal interests, should be applied. In this process, the particularity of the immun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erms of democracy and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balancing between the immunity and the conflicting rights or legal interests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National Assembly, as a rule, and the control of the balancing must be perform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But for limitation of the immun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people do this always and consistently by the exercise of the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한국어

면책특권은 국회의원에게 인정되는 특권이다. 이러한 특권은 국회의원이 전체 국민의 대표로서 입법활동과 국정통제활동을 올바로 수행하기 위하여 인정된다. 따라서 면책특권의 범위는 원칙적으로 넓게 이해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면책특권에 대한 통제는 선거에 의해서 이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면책특권은 절대적 특권이 아니기 때문에 제한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명예나 사생활에 관한 권리 및 허위사실유포금지와 같은 공익에 의해서 제한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면책특권은 이와 충돌하는 권리나 공익과 조화롭게 실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법익의 형량을 본질로 하는 비례성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면책특권이 민주주의와 권력분립의 관점에서 가지는 특수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면책특권과 이와 충돌하는 권리나 법익의 형량은 원칙적으로 국회에 의해서 행해져야 하고, 그에 대한 통제는 헌법재판소가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면책특권에 대한 제한은 국민이 정치적 표현의 자유를 행사함으로써 상시적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면책특권의 내용
  1. 국회에서 직무상 행한 발언과 표결에 대한 국회의원의 특권
  2. 국회 외에서 책임을 지지 않는 특권
 III. 면책특권의 제한
  1. 특권과 제한
  2. 문제가 되는 기본권 및 공익
  3. 제한의 구체화
  4. 비례성원칙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준일 YI, Zoon Il\.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