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 of National Museum
초록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2012년 8월 13일 11시 23분경 발생한 서울시 종로구 소재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신축공사장 화재사 고에 대해 실물화재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분석하고, 시사점에 따른 대책을 제시하였다. 화재는 지하3층 기계실 천 장에 설치된 가설전등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발생하였으며, 실험결과 직접적 원인은 전등 보양에 의한 열 축적으로 전선 피복이 손상되어 단락 된 것으로 추정된다. 우레탄폼은 전기스파크와 같은 작은 불티는 쉽게 착화되지 않으며 중간 연소 매개체가 있어야 우레탄폼을 발화시킬 수 있다. 발화 후 초기 연소는 완만하나 일정시간 경과하면 열과 연기유동이 급격 히 확산되고, 시뮬레이션 결과 연소 약 4.5m/s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우레탄폼은 다공성 가연물로 밀도가 낮아 열분해에 의한 가연성 가스가 다량으로 분출되고, 이 과정에서 많은 연기가 발생하며 언론에서 보도된 포스겐 가스는 발생하지 않 는 것으로 확인되며 사망자의 주된 요인은 불완전연소 가스(CO)에 질식한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화재사고 개요
2.1 화재원인 검토
2.2 연소 확산 요인(우레탄폼) 현황
3. 연구과제 실험
3.1 우레탄폼 착화 실험
3.2 연소확산 실물화재 실험
3.3 가설전등 설치 후 우레탄폼 연소 실험
3.4 FDS를 이용한 발화장소(기계실) 시뮬레이션
3.5 조건별 가설전등 온도 계측
4. 실험 결과를 통한 화재 분석
4.1 연소 확산 분석
4.2 인명 피해 분석
4.3 화재 원인 분석
5.1 조치 및 행정지도
5.2 시사점에 따른 대책
감사의 글
참고문헌
1. 서론
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화재사고 개요
2.1 화재원인 검토
2.2 연소 확산 요인(우레탄폼) 현황
3. 연구과제 실험
3.1 우레탄폼 착화 실험
3.2 연소확산 실물화재 실험
3.3 가설전등 설치 후 우레탄폼 연소 실험
3.4 FDS를 이용한 발화장소(기계실) 시뮬레이션
3.5 조건별 가설전등 온도 계측
4. 실험 결과를 통한 화재 분석
4.1 연소 확산 분석
4.2 인명 피해 분석
4.3 화재 원인 분석
5.1 조치 및 행정지도
5.2 시사점에 따른 대책
감사의 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