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CBs 로 오염된 퇴적물이 존재하는 해역에서 서식하는 저서어류 (넙치) 섭취로 인한 인체 위해성

원문정보

The hzards of contaminated seiment for human health: Potential health risk assessment of PCBs in contminated sediments using Olive flounder4cc

최진영, 홍기훈, 양동범, 김석현, 김경련, 최기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우리나라 가정에서 먹는 어류의 한 토막은 100-150g 이고 모든 연령층의 인구가 매일 46 g 정도 섭취하고 있다. 그러므로 어류 섭취를 통한 어류에 포함된 유해물질의 인체 흡수로 인한 인체 위해성 평가는 국민 건강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CBs 로 오염된 국내 7 개의 실 해역과 오염 해역정화 복원 고시 (국토해양부)의 기준 1 과 2 에 해당하는 PCBs 오염 가상퇴적물이 존재하는 해역에 넙치(저서어류)가 서식한다고 가정하고 이 넙치를 섭취하는 경우에 사람이 받게 될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넙치 체내의 PCBs 함량은 문헌의 Biota-Sediment Accumulation Factor (BASF)로 추정하였다. 이 추정치와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적인 어류 섭취 총량을 넙치량으로 가정하고 이의 섭취로 인한 PCBs의 인체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성인 (체중 65 kg)이 일일 50.6g 어류를 섭취하는 경우에 PCBs 를 최고 4.7 ng 을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3-6 세의 아동은 평균 체중이 19.2 kg 이고 일 17g 의 어류를 섭취하고 있고, 50-64 세의 평균 체중이 62.4 kg 이고 일 48g 을 섭취하고 있으므로, 이들 연령층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체중 1kg 당 PCBs 일일 섭취량이 높다. 넙치의 섭취로 인한 일생의 발암율은, 우리나라에서 최고로 PCBs 함량이 높은 해저퇴적물의 경우에는 10 만 명 당 1 명이 암에 걸릴 확률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PCBs 로 오염된 바닥 퇴적물이 존재하는 해역을 정화하는 것은 국민 건강 보호 차원에서 시급하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1. 시험 어종 및 대상 오염퇴적물 선정
  2. 저서생물-퇴적물 농축계수를 통한 어류체내의오염물질량 예측
  3. 인체위해성평가
 III. 결과 및 고찰
  1. 오염퇴적물에 서식하는 넙치 체내의 PCBs
  2. 인체위해성평가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진영 Jin Young Choi.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홍기훈 Gi-Hoon Hong.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양동범 Dong-Beom Yang.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김석현 Suk Hyun Kim.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김경련 Kyoungrean Kim.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최기영 Gi Young Choi.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