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의 은퇴 후 재사회화 결정요인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on Teachers' Resocialization after Retirement

김기찬, 이상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tirement expectation, socio-psychological crisis feeling, influencing factors of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deciding factors of resocialization after retirement. The models for this study were design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better and more helpful life in retirement program for the retired teachers and revealed the models empirically. In total, 500 teacher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recruited by random sampling and they filled out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fter they were assured that the information would never be used for any other purpose. The 467 data were analyzed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psychologic crisis feeling, retirement preparation, and resocialization factors.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variables were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retirement expectation, socio-psychological crisis feeling, and resocialization were revealed and study models led to the analysis of resocializ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 of each variable was 2.92 points in retirement expectation, 2.91 points in socio-psychological crisis feeling, and 2.90 points in resocialization of 5 point scale.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 variables were expressed as follows; retirement expectation → (0.37) psychological crisis feeling / retirement expectation → (0.11) resocialization / psychological crisis feeling → (0.40) resocialization / retirement expectation → (0.17) resocialization The retirement expectation accounted for 23.3% of the variables. The direct effect was 0.110, and the indirect effect was 0.148 in retirement expectation. The overall effects revealed 0.258 by way of psychological crisis feeling and retirement expectation. Overall, the decisive factors consisted of retirement expectation, socio-psychological crisis feeling, and retirement preparation. By these factors, resocialization after retirement must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life planning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order to realize the planning, it is necessary to enlarge resocialization program beyond the limit of hobby, leisure activity, and short term employment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교사의 은퇴기대, 사회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 정도 및 영향요인과 은퇴 후 재사회화 결정요인을 파악하여 교사의 은퇴 후 삶에 유용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2012년 8월 14일부터 9월 15일까지 충청남도 교육청에 등록된 초·중·고 교사 500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중 467부를 최종 분석대상자로 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은퇴기대, 사회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 및 재사회화의 하위요인에 대한 차이를 검정해보고, 이용된 변수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은퇴기대, 사회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 및 재사회화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연구모형을 구축하여 재사회화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각 변수들은 최고점수 5점 만점에서 은퇴기대 2.92점, 사회심리적 위기감 2.91점, 은퇴준비 3.32점, 재사회화 2.90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에서 각각의 경로계수들을 통한 유의성을 분석한 결과, 은퇴기대→심리적위기감의 경로계수는 .37, 은퇴기대→재사회화의 경로계수는 .11, 심리적 위기감→재사회화의 경로계수는 .40, 은퇴준비→재사회화의 경로계수는 .17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3.3%이었다. 연구모형에서 은퇴기대가 심리적 위기감 및 은퇴준비를 매개로 재사회화에 미치는 직 · 간접효과 및 총 효과는 직접효과 .110과 간접효과 .148으로 총효과는 .258이었다. 은퇴기대, 사회심리적 위기감, 은퇴준비는 교사의 은퇴 후 재사회화의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거하여 교사의 은퇴 후 재사회화를 위한 방향은 은퇴교사들이 희망하는 은퇴 후 생활계획을 토대로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욕구를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은퇴자를 위한 취미, 여가선용, 단기 일자리지원 중심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은퇴예정 교사에 대한 노년기 재사회화를 돕는 성공적인 서비스로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은퇴의 개념
  2. 재사회화의 개념
  3. 은퇴와 재사회화의 관계
 Ⅲ. 분석틀과 주요변수
  1. 분석틀
  2. 주요변수
 Ⅳ. 교사의 은퇴 후 재사회화 결정요인 분석결과
  1. 은퇴기대 영향요인
  2. 사회심리적 위기감 영향요인
  3. 은퇴준비 영향요인
  4. 재사회화 영향요인
  5. 연구모형의 분석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찬 Kim, Ki-Chan. 한서대학교
  • 이상엽 Lee, Sang-Yup. 한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