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스마트파워-복합네트워크 외교양식과 한국 지방외교에의 발전적 함의 연구 - 미국형 외교변환 모델 중심 -

원문정보

Smart Power and Complex Network's Mode of Diplomacy and Their Implications toward South Korea's Local Diplomacy: The Case of the U.S-Typed Transformational Diplomacy Model

송기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teraction modes among general diplomatic agents has been presented in various forms during historical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After pre-modern and modern diplomacy modes, the up-to-date diplomatic environments, including globalization and knowledge-based information, requires new creative ideas and practices of diplomacy. This study aims to analyzes the ever-changing diplomatic configuration and provides some evolutionary implications toward local diplomacy, through some newness of the U.S. transformational diplomacy on its central government's base since September 11 terrorist reaction. Those implications includes, through analyzing the U.S.'s Transformational Diplomacy and QDDR, some emerging configuration of international diplomatic environment, interrelationship among diplomatic agents, reciprocal linkages among diplomatic issue-areas and their practices. In spite of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however, found toward future orientations for local diplomacy,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present local diplomacy has some deep-rooted weakness and limitations in terms of adequate perception of changing diplomacy, inexistence of specialized expertize, vulnerable budget system, inefficient operational capacity of relevant programs, etc.

한국어

외교의 행위주체들 간의 상호관계 양식은 국제관계의 역사적 전개과정에서 다양한 변화양상을 제기해 왔다. 전근대적 및 근대적 외교를 거쳐 현재의 탈근대화, 세계화, 지식정보화, 민주화 추세에 따라 외교 또한 지방화 시대에 직면하여 새로운 관념과 실행양식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9·11 테러를 계기로 중앙정부 차원에서 시도된 외교변환 모델에서 제기된 미국형 새로움을 기반으로 향후 지방외교 또는 도시외교의 방향 및 인식 등에 제공될 수 있는 발전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4개년 외교·개발검토보고서(QDDR)’를 중심으로 한 미국형 외교변환 모델을 통해 국제외교 환경의 새로운 지형, 외교의 주체와 상호관계, 쟁점영역의 연계성 및 실행방식 등을 중심으로 제기된 스마트파워형 복합네크워크 외교양식을 통해, 상대적으로 전통적인 유형 및 수준에 머물러 있는 현 단계 지방외교의 미래형과 연계될 수 있는 함의 제시가 유의미한 기대로 발전될 수 있음을 모색하고자 한다. 다만 현재의 지방외교에서 노출된 탈근대형 외교에 대한 인식 및 관심의 부족, 전문인력·프로그램·예산 등 실행 체계 및 효율적 운용 능력의 부재 등 지금까지 일관되게 관찰되어 온 한계점들을 전제한 범위 내에서 논의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외교의 개념·분석수준과 외교양식의 변화
  1. 개념·분석수준
  2. 외교양식의 변화
 Ⅲ. 스마트파워형 복합네트워크 외교양식
  1. 스마트파워와 복합네트워크 개념 분석
  2. 미국형 외교변환 모델
 Ⅳ. 지방외교의 제도화와 한국에 대한 발전적 함의
  1. 지방외교의 제도화 특성과 한계
  2. 한국 지방외교에의 발전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기돈 Song, Khee-Don. 전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