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있어서 대학생 유권자집단의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 후보자 인지요인과 선택요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Vo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 Audience Group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ndidate Cognition and Candidate Choice Factors of Voters

엄운섭, 손진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 audience group revealed through the 19th national assembly election, and to learn their implications by exploring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how to recognize and select a candidat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questionnaires comprised of 26 items which were generated from the basis of critical literature review and has been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160 university student audiences in Kangwon-do.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respondents recognize candidates through a traditional information channels such as a promotional materials for political campaigns and a new personal information channels such as a smartphone. It also indicates that they decide for whom to vote through a policy to be offered by candidate. According to this study, it also indicates that they are deeply influenced on their choice of candidates by a candidate cognition factors such as a promotional materials for political campaigns and a new personal information channels in a candidates' policy and personnel variable, but by a candidate cognition factors such as their campaign workers and individual contacts with candidate in a political parties variable.

한국어

본 연구는 젊은 사회계층을 대표하는 대학생 유권자집단을 대상으로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이들이 어떤 매체를 통해 후보자들을 인지하였고 후보자를 인지하는 매체가 후보자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 유권자집단은 대부분 대중매체와 선거홍보물과 같은 전통적인 오프라인 정보매체와 휴대폰 및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퍼스널 정보매체를 통해 후보자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유권자집단은 기성세대와는 달리 인물이나 정당요인보다 후보자가 공약으로 제시하는 정책요인을 보고 후보자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유권자집단은 정책 및 인물 변인의 경우에는 선거홍보물과 휴대폰 및 스마트폰 정보매체가, 정당 변인의 경우에는 선거운동원과 후보자와의 개인접촉 변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구결과로부터 도출된 정책적 함의는 첫째, 매니페스토와 같은 후보자의 정책공약에 대한 검증시스템의 강화, 둘째,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퍼스널 정보매체의 기능강화, 셋째, 선거운동원에 대한 교육훈련시스템의 구축 등을 들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검토
  1.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관한 이론적 배경
  2. 유권자의 투표행태에 관한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방법
 Ⅳ. 분석의 결과 및 논의
  1.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
  2. 조사대상자의 일반특성별 변인분석
  3. 후보자 인지요인과 후보자 선택요인과의 상관 및 회귀 분석
 Ⅴ. 분석결과의 종합 및 논의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엄운섭 Um, Un-Sup. 강원대학교
  • 손진아 Son, Jin-A. 한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