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시아계 이주근로자의 문화적 가치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홉스테드 지수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ultural Value and Job Satisfaction of Asian Immigrant Employee :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Applying Hofstede’s Dimensions

최석신, 김윤근, 한병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designed to survey 400 immigrant workers (Chinese, Filipino, Vietnamese, Uzbek) and 55 Korean workers. It has two objectives. First, are there any national cultural difference in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is their job satisfaction (JS) similar to Koreans when their individual cultural values (CV) are similar to Koreans?. After reliability test, we analysed and inferred as follows through t-test and regression. First, similarity of JS and CV is not necessarily proportional, rejecting the H 1. So to speak, similarity of JS can be affected by any other factors except Hofstede dimensions. Korean and Uzbek workers showed almost no JS gap especially in Power distance(PD) and Long Term orientation(LTO) dimensions. Despite Chinese workers (most of them are Korean-origin people) have the most similar climate, language, culture, history and blood, they showed the biggest gap from the Koreans. Second, accepting H 3 and H 6, PD and LTO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imilar JS to Korean workers. PD dimension to the Chinese and the Vietnamese workers, LTO dimension to Uzbek workers, MAS and LTO dimensions to Filipino workers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We finally infer that the more easily they adapt to Korean business culture, the higher their JS level become.

한국어

본고는 광주/전남 지역의 4개국 (중국, 베트남, 필리핀, 우즈베키스탄) 이주근로자 400명과 한국인 근로자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된 것이며,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이주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국가문화 간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이주근로자의 개인적 문화가치가 한국인과 유사할수록 직무만족도도 한국인과 유사한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신뢰도 검증을 거친 후 국가문화 간 차이는 t-검증, 개인 문화가치의 차이는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는 다음과 같이 추론할 수 있었다. 첫째, 가설 1이 기각됨으로써, 직무만족의 유사성은 국가 문화의 유사성과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Hofstede 차원 이외의 다른 요소/차원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권력거리와 장기지향성 차원에서 거의 비슷하다. 오히려 중국 근로자 (대부분은 조선족이지만)들이 한국과 유사한 기후, 풍토, 역사, 문화, 민족성에도 불구하고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가설 3, 가설 6이 채택됨으로써 이주근로자 개인들의 권력거리와 장기지향성 성향이 한국인 근로자와 유사한 만족수준을 느끼는데 있어 가장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중국, 베트남의 경우 권력거리 차원이,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장기지향성 차원이, 필리핀의 경우 남성주의 및 장기지향성 차원이 유사할수록 한국인과 유사한 직무만족도를 느끼고 있다. 한국사회의 권력지향성 문화와 장기지향성 추구문화에 쉽게 적응할수록 이주근로자의 만족수준이 높아진다고 추론할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주근로자의 현황과 특징
 III. 선행 연구
  3.1 문화적 가치
  3.2 직무만족
  3.3 직무만족과 문화가치 간 관계
 IV. 가설 설정
  4.1 연구가설
  4.2 자료 수집 및 측정
 V. 분석 결과 및 토론
  5.1 기초통계
  5.2 신뢰도 분석
  5.3 문화 집단 간 직무만족의 유사성
  5.4 개인차원의 직무만족 유사성 결정요인
 VI.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석신 Soug-Shin Choi.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김윤근 Yun-Keun Kim.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박사과정
  • 한병섭 Byoung-Sop Han.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