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의 에너지 외교 현황과 한국에의 시사점

원문정보

The Energy Resource Diplomacy of China and Implications for Korea

金廷基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eople's of China is currently the second largest oil consumer after USA. China's continued economic growth rate for much of the past two decades has spurred this demand for more energy. However its domestic oil production is not sufficient to meet current and the projected future demand. This study examines various policies and diplomacy on energy resource of China. China has strengthened aggressive energy diplomacy to escape from dependence of the international oil market led by America and European countries. As a result, Chinese energy diplomacy has been focused on 1)support for political, diplomatic, and economic cooperation in connection with resources development, 2)penetrating niche areas, 3)connection with national development and industrial strategies, 4)utilization of diversified soft power etc. Korea has to study the environment for participating in energy resources development in new African, in Latin America in Central Asia oil-producing nations and strategies for securing energy resources in these areas by analyzing the approche strategies of China.

한국어

1978년 개방 이후 고속성장을 해온 중국은 지속적 경제성장에 따른 산업 고도화, 도시화, 지역 균형발전 등을 추진하기 위해 에너지 자원 확보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있다. 한편, 자원의 해외의존도가 높아지는 가운데 중국은 서방 글로벌 석유 메이저들 중심의 국제석유시장 의존에서 탈피하고 독자적인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해 자원보유국과의 적극적인 에너지 외교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 중국은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해서라면 이념적 차이나 지역정세 불안 등을 고려하지 않고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역과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 에너지 외교의 특징은 다자외교 틀 속에서 양자외교, 수송로 다변화 전략, 틈새공략을 토대로 하는 실리외교, 대규모 국부펀드를 조성 및 원조강화라 할 수 있다. 중국의 에너지 외교는 전 지구적 차원에서 전개되며 각 지역 및 세계적 차원의 지정학적 구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의 전 세계에 걸친 무차별적인 해외 에너지 자원확보 공세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확보하려는 6대 전략자원(석유, 철광석, 무연탄 등)의 대부분이 중국의 해외확보 자원과 중첩되는 한국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은 에너지보유, 생산국의 동향뿐만 아니라 거대 에너지 소비국인 중국의 동향 및 에너지 정책방향을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자원개발 사업에서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남미는 앞으로 한국의 진출 여지가 큰 지역이다. 그러나 중국의 해외 지역진출 전략에서 살펴보았듯이 지역 또는 국가에 따라 선택과집중을 통한 자원개발의 차별화 전략이 바람직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중국의 에너지 수급상황 및 에너지 정책
  1. 중국의 에너지 수급상황
  2. 중국의 에너지 정책
 Ⅲ. 중국의 주요지역 에너지 외교 (대 아프리카, 대 중앙아시아, 대 남미)
  1. 중국의 대 아프리카 에너지 외교
  2. 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에너지 외교
  3. 중국의 대 중남미 에너지 외교
 Ⅳ. 중국의 에너지 외교의 특징
 Ⅴ. 결론 : 중국의 에너지자원 외교와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廷基 김정기. 원광대학교 교수, 정치외교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