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무지출 예산의 추이와 결정과정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Trends of Mandatory Spending and Its Legislative and Budgetary Process

金瑃淳, 延勳洙, 朴仁和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mandatory spending of government expenditure since 2007, and to figure out which process between legislative and budget one plays an even more pivotal role in budget finalizat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99.1 trillion won in 2007, is so called mandatory spending accounting for 41.5% of total government expenditure, has gradually increased by 8.5% on an annual basis. It finally reached 148.6 trillion won in 2012, 45.7% of total expenditure. Compared with total expenditure growth rate by 6.4% and discretionary spending growth rate by 4.9%, during the same time period, rapid increase in mandatory spending is expected. In addition, Elasticity of mandatory spending on economy shows 1.4 to 1.8 times of total expenditure and discretionary spending, which confirms rigidity. For details, although the grants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 took most part, it is not heavy burden for fiscal operation because of its linkage with tax revenue. Conversely, welfare spendings deepen fiscal burden by increasing aging population. In particular, local government might be difficult to bear rising national subsidy programs of welfare sector(12% increase on an annual basis). Based on case study, since some programs like childcare are decided in budget process rather than legislative process, preemptive and concrete management is har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datory spending. Therefore, with regard to specific mandatory spending that has deep impact on national finance, beneficiaries and payment per unit should be specified in the law for ensuring sound fiscal manag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2007년 이래 의무지출 예산의 변동추이와 구조를 분석하고, 사업에 따라 입법과정과 예산과정의 어느 쪽에서 예산에 대한 실질적인 결정권을 행사하는지를 사례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2007년 99.1조원으로 총지출의 41.5%를 차지한 의무지출은 연평균 8.5%씩 증가하여 2012년에는 148.6조원으로 총 지출의 45.7%에 이르렀다. 같은 기간에 총 지출증가율이연평균 6.4%, 재량지출이 4.9%인 것과 비교하면, 의무지출의 빠른 증가세가 가늠된다. 또한 의무지출은 경제성장에 대한 탄성치가 총 지출이나 재량지출의 1.4~1.8배 정도로 나타나 경직성이 확인된다. 내역별로는 지방교부금 비중이 크지만, 세입에 연동되어 재정운용에 미치는 부담은 덜한 반면, 복지지출은 대개 고령화에 따라 수급자가 계속 늘어나므로 재정 부담을 심화시킨다. 특히 복지 분야 국고보조사업 증가가 두드러져 재정력이 취약한 자치단체의 대응부담을 가중시킨다. 사례분석에서는 보육사업 등이 입법과정이 아니라 예산과정에서 규모가 결정되어, 의무지출에 대한 사전적이며 체계적 관리를 어렵게 한다. 재정 영향이 큰 의무지출에 대해서는 수급권자와 급여 단가가 법률에 명시되도록 함으로써, 입법과정을 통해 지속 가능하고 건전한 재정운용의 기틀이 확보되도록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검토
  3. 분석의 틀
 Ⅲ. 의무지출 예산의 추이와 구조
  1. 의무지출 예산 분류
  2. 의무지출 예산의 추이
  3. 의무지출 예산의 구조
  4. 의무지출과 재정건전성
 Ⅳ. 의무지출 예산의 결정과정 분석
  1. 입법과정을 통한 의무지출 예산 결정
  2. 예산과정을 통한 의무지출 예산 결정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金瑃淳 김춘순.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실장, 정책학
  • 延勳洙 연훈수.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관, 경제학
  • 朴仁和 박인화. 국회예산정책처 예산분석심의관, 보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