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개혁개방, 한중 수교, 그리고 중국 조선족 사회

동아시아 근본비유로서의 제유

원문정보

Synecdoche as Master Trope in East Asia

구모룡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 far, Western rhetorics has been narrowed into metaphor, metonymy or metaphor-centricism. This centralism has been a long tradition since Aristotle. Aristotle collectively defined all transfers of figurative meanings as metaphor. Return to metaphor is what is emphasized by the metaphor-centralism. Things that we call metonymy and synecdoche today all date back to the philosopher's metaphor. Jakobson proposes dichotomy between metaphor and metonymy. In defining poetic things, he discriminated them from prose things, making notable metonymy as different from metaphor. It is a problem to reduce all analogies into what is extremely incompatible with metaphor. For Jakobson, metaphor and metonymy have some things to do with the explanation of poetic things. However, his rhetorical definition of those things may be in some respect synecdochical. As supported by several patterns of analysis, it is no doubt that dichotomy between metaphor and metonymy is a very effective framework of explanation. The two rhetorics might be possible to be come across or dissolved by another rhetoric, as suggested by the definition of what is poetic. Instead of Jakobson's dichotomy, K. Burke or H. Height chooses tetrachotomy. According to tetrachotomy, which is a sort of return to the old rhetorics, metaphor, metonymy, synecdoche and irony are equal analogies to one another. Here, the notable thing is how reasoning is made in relation to each of those rhetorics. By the way, synecdoche is sometimes understood as master trope, not complying with tetrachotomy in which metaphor, metonymy, synecdoche and irony are equally treated. The first case that synecdoche was made remarkable more than the other rhetorics is so-called the argument by 'Groupe μ'. Though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groupe's general rhetorics, anthropologist T, Turner's definition of metonymy as master trope is notable. E. Onuki-Tyrny describes metonymy as interstitial. Whether treated under the framework of tetrachotomy or as master trope, metonymy is related to organism. And special attention is paid to metonymy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reasoning or aesthetics. In East Asian aesthetics and rhetorics, both of which are based on organic reasoning, synecdoche is master trope. This principle of synecdoche, however, has not attracted much attention. Wei-ming Tu claims that man and nature is metaphorically united and that man's sensitivity to nature is the former's metonymical extension of his spirit. He also claims that the aesthetic appreciation and creative process of nature are contiguous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Jakobson's terms. He fails to find how to use synecdoche to dissolve Jakobson's dichotomy. Following Jakobson is found in Wuhong, too. Wuhong understands the folding screen as a poetic space. This understanding is apparent in his attempt to give both metaphoric and metonymic functions to the folding screen. This attempt complies with Jakobson's definition, providing a good explanation of the poetic meaning of the folding screen. But such understanding by Wuhong is not developed into the way of coming across between metaphor and metonymy through synecdoche. What occurs to our mind at this point is the tradition of East Asian aesthetics in which reasoning is based on Jakobson's poetic function. Notably, Jakobson's dichotomy has some limits in explaining that tradition. This problem may be solved if we return to old rhetorics that are original before reduced. Originating from 『The Book of Changes』 and developing through Taoism and Confucianism, organology is also reflected in East Asian aesthetics. Analogous to the principle of change, East Asian aesthetics reveals organic reasoning, especially in terms of aesthetic process, existence and value.

한국어

서구의 수사학은 은유와 환유 또는 은유중심주의로 축소되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비유적 의미의 전이를 은유로 포괄하였는데 은유중심주의는 이러한 은유로의 환원을 강조한다. 오늘날의 환유와 제유는 모두 그의 은유에 속한다. 야콥슨은 은유와 환유의 이분법을 제시한다. 그는 시적인 것을 정의하는 가운데 이를 산문과 분리하면서 은유와 다른 환유를 부각하게 되는 것이다. 야콥슨에 있어서 은유와 환유는 시적인 것을 해명하는 일과도 연관된다. 그런데 야콥슨의 시적인 것에 대한 수사학적인 규정은 달리 제유로도 보인다. K. 버크나 H. 하이트는 야콥슨 등의 이분법 대신에 사분법을 선택한다. 옛 수사학으로 환원된 사분법에서 은유,환유, 제유, 아이러니는 대등한 비유가 된다. 그런데 은유, 환유, 제유, 아이러니 들을 대등하게 설명하는 사분법과 달리 제유를 근본비유로 이해하는 경우가 있다. 먼저 ‘그룹 뮈(μ)’의 논의를 들 수 있다. 인류학자인 T. 터너 등이 제유를 근본비유로 규정한 관점이 또한 주목된다.E. 오누키-티르니는 제유를 틈새의 속성으로 설명한다. 사분법 체계에서든 근본비유로서든 제유는 유기론과 연관되며 동아시아적 사유나 동아시아 미학과 관련하여 특별히 관심의 대상이 된다. 유기론적 사유가 바탕이 되는 동아시아 미학과 수사학에서 제유는 근본 비유이다. 뚜 웨이밍은 인간과 자연은 은유적 의미에서 일체를 이루며, 이러한 자연에 대한 인간의 감응의 기능은 정신을 환유적으로 확장시키는 과정이라 주장한다. 그는 자연에 대한 심미적 감상과 창조적 과정을 야콥슨의 용어에 따라 인접적이라 규정한다. 그는 제유를 통하여 야콥슨의 이분법을 해체하는 방안을 강구하지 못한다. 야콥슨을 그대로 원용하는 경우는 우홍에게서도 나타난다. 병풍에 은유적 기능과 환유적 기능을 모두 부과하는 우홍의 관점은 병풍을 시적 공간으로 이해하려는 그의 입장과 연관된다. 우홍의 입장도 제유를 통하여 은유와 환유를 가로지르는 방법론으로 발전하지 못한다. 여기서 우리는 야콥슨의 시적 기능이 사유의 기본이 되고 있는 동아시아 미학 전통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전통을 해명하는 데야콥슨의 이분법이 한계가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줄어든 수사학에서 줄기 이전으로 돌아가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된다. 『주역』에서 비롯하고 도가와 유가를 관류하는 유기론은 또한 동아시아 미학에 반영되어 있다. 역(易)의 원리에서 유비되는 동아시아 미학은 미적 과정, 미적 존재, 미적 가치 등에서 유기론적 사유를 드러낸다.

목차

요약
 1. 서론: 은유중심주의의 진폭
 2. 은유와 환유의 이분법
 3. 은유, 환유, 제유, 아이러니의 4분법
 4. 근본비유로서의 제유
 5. 동아시아적 사유와 제유에 대한 오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구모룡 Gu, Mo-Ryong.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