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개혁개방, 한중 수교, 그리고 중국 조선족 사회

연변의 문혁과 그 문학적 기억

원문정보

The Culture Revolution and the Literature Memory in Yanbian Area

이해영, 陈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ring the Culture Revolution, the movement in the Yanbian area of Jilin Province was around the national conflict that almost all the “frication” and “clash” were arose from this. In this period, this specific phenomenon has its historic background: the persistence of the Korean cadres in the early stage of the founding period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the land revolution and the identity of the Korean nation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thnic Korean and the north Korean,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our two nations. This thesis is around the novels on the memory of “culture revolution” in Yanbian through the analysis of four novels, namely: Tomb-sweeping Day (Jin Kuanxiong 1979), faith (Jin Kuanxiong 1980) Yellow Butterfly (Zhang Zhimin1981) Red Shadow(Li Huishan 1998). And aims to seek the way of literature creating as well as to outline the particularity in Yanbian during that time. The first and the last ones are all made the painful reality of “culture revolution ”as the writing background. In the faith, the hero, Old Cui, was the witness of the “event of Mingsheng Group”, was the survivor of the War of Liberation and the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During the anti-rightist movementand the culture revolution, he was titled as the “rightist” and a “counterrevolutionary”. He died in the prison after serious torture. This novel not only present the special aspect of culture revolution in Yanbian, but also reveal the historic background of nationalism and national conflict in Yanbian. It is also presented that the particularitycontinued until 1930s and it was the last of “event of Mingsheng Group”. In the Yellow Butterfly, the hero, Cui Mingyun, the Korean nationality, once served in the Korean army of volunteers as a leader, suffered in the anti-rightist movement, the anti-local-nationalism and bitterly went through the political spin after the founding of PRC.

한국어

연변의 문혁은 중국 전역과는 다른 민족갈등의 차원에서 전개되었고 모든 모순과 투쟁이민족적 차원의 갈등으로 수렴되었다. 이러한 연변 문혁의 특수성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인데, 주로 연변조선족자치주 초기 조선족 간부들의 계보, 토지개혁과 조선족의 국적문제, 조선족과 북한, 그리고 중국과 북한의 관계 등 측면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이글은 연변의 문혁에 대해 형상화한 소설들 중, 김관웅의 <청명날>(1979년>, <신념>(1980년); 장지민의 <노랑나비>(1981년); 리혜선의 <빨간 그림자>(1998) 등 4편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들이 어떻게 중국 전역의 문혁과는 차별화되는 연변 지역 문혁의 특수성을 문학적으로 기억하고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김관웅의 <청명날>과 리혜선의 <빨간 그림자>는 연변 문혁의 참혹한 진실을 배경자료로 언급하고 있다. 김관웅의 <신념>은 <민생단사건>의 목격자이자 생존자인 최영감이 해방전쟁과 항미원조를 겪은 후 결국 반우파투쟁과 문혁에서 다시 ‘우파’로, ‘반혁명분자’로 몰려 억울하게 고문과 혹형을 당하고 끝내 감옥에서 죽어간 이야기를 쓰고 있다. 이는 연변 문혁의 특수성과 민족주의 내지 민족 갈등으로 표상되는 연변 문혁의 역사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으며 연변 문혁의 특수성이 결국은 30년대 만주의 항일연군부대에서 자행되었던 참혹하고 무자비한 <민생단사건>에 이어짐을 의미하고 있다. 장지민의 소설 <노랑나비>는 태항산 항일근거지에서 싸웠던 조선의용군 출신 조선족 간부 최명운의 반우파투쟁, 지방민족주의를 반대하는 운동, 문혁 등 와중에서 겪은 수난을 통해 새중국 창건 이후의 각종 정치운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조선족 간부가 겪은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목차

요약
 1. 들어가기
 2. 연변 문혁의 특수성과 역사성
  1) 연변 문혁의 특수성
  2) 연변 문혁의 역사성
 3. 기억을 위한 용기와 역사적 진실의 문학적 체현
  1) 배경자료로서의 기억
  2) 문혁의 역사적 근원에 대한 기억
  3) 조선족 간부의 수난기로서의 기억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해영 Li, Hai-Ying. 중국해양대 한국어과 교수
  • 陈丽 Chen Li. 중국해양대 한국어과 대학원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