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structural changes in Korean Chinese society and multicultural environment that is influenced by Korea and other foreign countries as a foundation and then investigates the overall transformation of main writing agents and environment, thematic trends, methods of writing, and changes and experiments in artistic forms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Based on the macroscopic analysis of the general trend of the transitional period Korean Chinese literature, the themes of writings can be categorized as 1) having tendency of enlightenment or “ethnic realism,” 2) aiming for individualistic discourse and expressions, 3) having post-politics, post-ideolog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that indulges on the combinations of images, writing styles, and beauty of structure, 4) having feminist characteristics that targets male-centrism through women’s humanistic realization and emphasis on women’s images of self-esteem, self-strength, and affection, 5) having cultural-historical characteristics that attempts to affirm the roots of ethnic culture and ethno-cultural tradition through history, 6) hav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pays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s of co-existence and co-survival between human and nature. Writing methods based on realism still takes a prominent position when we examine the general trend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transitional period based on artistic aspects. However, we can further categorize it as realistic, critical, and combatant realism with enlightenment themes and post-political and post-ideological neo-realism. Furthermore,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this period actively incorporates elements of modern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shows characteristics of hybridity through reciprocal penetration and reciprocal function.
한국어
본고에서는 전환기 조선족사회의 구조적 변화와 한국을 비롯한 외국의 영향으로 말미암은 다원문화의 환경에 대해 살펴본 기초 위에서 조선족문학의 창작주체의 변화와 창작상황, 조선족문학의 주제경향, 창작방법과 예술형식의 변화와 실험에 대해 윤곽적으로 살펴보았다. 주제적 측면으로 전환기 조선족문학의 전반 흐름을 거시적으로 살펴본다면 1) 계몽적 주제경향 혹은 ‘민족적사실주의’성향을 보여준 작품들, 2) 개인적 담론, 개인적 표현을 지향한 작품들, 3) 탈정치, 탈리념적 성향 그리고 이미지의 조합이나 문체, 형식미에 탐닉하는 순수문학 혹은 탐미주의 성향을 보여준 작품들, 4) 여성의 인간적인 자각, 그리고 자존, 자강, 자애의 녀성형상을 부각하면서 남성중심주의를 향해 화살을 날린 여성주의 성향을 보여준 작품들, 5)역사 속에서 민족문화의 뿌리나 민족문화전통을 확인하려 하는 역사문화적 성향을 보여준 작품들, 6) 인간과 자연의 공존공생의 관계에 주목하는 생태주의 성향을 보여준 작품들로 대별될 수 있다.예술적 측면으로 전환기 조선족문학의 전반 흐름을 거시적으로 살펴본다면 사실주의창작방법은 여전히 주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를 계몽주제를 담은 현실적, 비판적, 전투적인 사실주의와 탈정치, 탈이데올로기적 신사실주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기 조선족문학에서는 모더니즘적 요소를 적극 수용하고 있는데, 사실주의와 모더니즘은 상호 침투, 상호 작용을 하는 혼성성(混成性)의 양상을 띠고 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전환기 조선족사회의 구조적 변화
1) 경제생활의 급변과 조선족인구의 대이동
2) 조선족사회의 인구격감 및 이산, 농촌마을의 해체 위기
3) 조선족농촌의 공동화(空洞化)에 따른 조선족농촌학교 교육의 위기
4) 사회환경의 변화와 조선족의 민족의식, 가치관 및 생활방식의 변화
3. 다문화환경과 조선족문학
4. 전환기 조선족문학의 창작주체와 창작상황
1) 시문학
2) 소설문학
3) 극문학
4) 산문문학
5) 문학비평과 문학연구
5. 전환기 조선족문학의 주제경향, 창작방법과 예술형식의 변화와 실험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