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개혁개방, 한중 수교, 그리고 중국 조선족 사회

중국의 지연된 근대외교와 한중관계 -동아시아 지역사의 시각-

원문정보

Chinese Delayed Modern Diplomacy and Sino -Korean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regional history-

유용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based on historical review states characteristics of the establishment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diplomacy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is celebrating its 20th anniversary this year. Applying the perspective of East Asia regional history of connection and comparison, the Sino-Korean relations were compared with relations of Sino-Outer Mongolia and Sino-Thailand. The modern diplomacy of the Qing dynasty was greatly delayed; it allowed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Empire of Japan and the Korean Empire only. As China presented itself as the center of the world, modern diplomacy which is denying such nature of China was avoided. During the period, the Qing dynasty developed the dual diplomacy which held a treaty-based relation with a tribute-based relation. Surprisingly, the dual diplomacy was carried over to the Republic of China; relying on the logic of tribute-based relation during the imperial period, it did not approve Thailand and newly independent Outer Mongolia until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Chinese dual diplomacy had continued until then and such fact provides the reason why the Republic of China did not approv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success of reform and opening up and the recovery of the national status as a greate power, Chinese major intellectuals forecasting the future regional order of East Asia emphasize rationality and equality of the tribute-based relation. However, this is a mere expression of Chinese imperial consciousness which takes imperial experiences for granted and lacks a mirror to reflect their empireness At this condition, Korea and China has been building a cooperative relationship since 1992, liquidating the tribute-based relationship of pre-modern era and hostile relations of Cold War era. It has great importance in terms of the formation of the East-Asian regional order in the post-Cold War era. The future of Sino-Korean relations thus depends on how much they can objectify China and Korea to understand them in history and the order of a regional level of East Asia beyond understanding of bilateral relations.

한국어

이 글은 한중수교 20주년을 맞아 양국간의 근대외교의 성립과 전개를 역사적으로 검토해 그 특징을 밝힌 것이다. 이를 위해 연관과 비교의 동아시아 지역사 시각을 적용하여, 중국과 태국 및 외몽골간의 관계와 비교해 보았다. 청국의 근대외교는 매우 지연되었으며 특히 그 상대로 승인한 동아시아 국가는 오직 일본제국과 대한제국뿐이다. 세계의 중심을 자처한 중국에게는 근대외교 자체가 中國性을 부정하였기 때문에 회피된 결과다. 그 사이에 청국은 조약관계와 함께 조공관계를 지속하는 이중외교를 전개하였다. 놀랍게도 이중외교는 중화민국에게도 이어졌다. 중화민국은 태국과 새로 독립한 외몽골에 대해서 제국시기의 전통적 조공관계의 논리에 기대어 줄곧 승인하지 않다가 2차대전 종전 후에야 비로소 승인하였다. 중국의 이중외교는 이때까지 지속된 것이니, 중화민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하지 않은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개혁개방의 성공과 대국 지위의 회복에 따라 최근 중국의 주요 지식인들은 미래의 동아시아 지역질서를 전망하면서 조공관계의 합리성과 평등성을 강조하곤 한다. 그러나 이는 중국인이 스스로의 제국경험을 당연시함으로써 자신의 帝國性을 비춰볼 거울을 갖지 못한 일방적인제국의식의 표현에 불과하다. 이러한 조건에서 1992년 이래 한중 양국은 조공시대의 상하관계와 냉전시대의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협력/동반자 관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는 탈냉전기동아시아의 지역질서 형성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로부터 가꿔나가야 할 한중관계의 미래는, 양자관계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 동아시아 지역 차원의 역사와 질서 속에서 중국과 한국을 얼마만큼 객관화 하여 파악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제국시기 중국의 이중외교와 한중 근대외교의 지체
  1) 淸朝의 이중외교, 1860-1895
  2) 韓淸通商條約과 한중 근대외교의 개시, 1899-1905
 3. 공화국 시기 이중외교의 지속과 한중관계
 4. 전후 중국의 보편외교와 한중수교, 1946-1992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용태 Yu, Yong-Tae. 서울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