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VIA 성격강점 및 덕목 분류체계의 덕 윤리에 대한 실증적 보완 - 덕의 상대성 극복과 보편성 지향 -

원문정보

An empirical complement of ‘VIA Classification of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to virtue ethics: For universality of virtues

윤병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of the virtue ethics’ weaknesses is cultural relativity of virtues. ‘VIA Classification of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which is a fruition of positive psychology is the classification of the ubiquitous and objective virtues selected by massive empirical researches and investigations. VIA Classification is comprised of six ‘virtues’ and 24 ‘character strengths’ affiliated with the virtues. The 6 ‘virtues’ are wisdom(knowledge), courage, humanity, justice, temperance, and transcendence. And the ‘character strengths’ are open-mindedness, integrity, altruism, fairness, forgiveness, prudence, spirituality and so on. VIA Classification overcomes cultural relativity of virtues in virtue ethics empirically by social-scientific methodology and systematic study.

한국어

덕 윤리에 대한 가장 흔한 비판은 덕이 사회 문화적 상대성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덕윤리를 옹호하는 사람들은 대개 기술적 상대주의는 인정하되 메타 윤리적 상대주의는 부정함으로써 규범 윤리적 상대주의를 거부하는 입장을 취한다. 하지만 이런 입장은 실증성이 결여되어 있고 보편적인 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VIA 분류체계’는 긍정 심리학의 한 영역인 ‘긍정 특질(positive traits)’에 관한 연구이다. 긍정 특질이란 지혜, 친절, 끈기, 정직 등과 같이 한 개인이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긍정적인 성품, 곧 덕을 말한다. VIA 분류체계는 심리학을 포함한 사회과학적방법론과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보편적인 덕들을 찾아내어 체계화하고 있다. 그 보편적인 덕들은 상위의 덕인 6개의 ‘덕목’과 이를 구성하는 하위의 덕인 24개의 ‘성격강점’으로 되어 있다. VIA 분류체계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보편적인 덕의 목록을 제시함으로써 덕 윤리의 약점인 덕의 사회 문화적 상대성을 실증적인 방식으로 보완하고 있다.

목차

초록
 Ⅰ. 머리말
 Ⅱ. 덕의 상대성에 대한 윤리학적 논쟁
 Ⅲ. VIA 성격강점 및 덕목 분류체계의 의미와 내용
 Ⅳ. 보편적 덕의 선정 과정
  1. 6대 핵심 덕목
  2. 24개 성격강점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병오 Yun, Byeong-Oh. 상록중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