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미디어가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 정치관심 및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19대 총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University Students' Political Efficacy, Interest, Voting Behavior -Focusing on 19th General Election

이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what role social media played in promoting university students' political efficacy, interest, and voting, focusing on the 19th general election conducted in April 11, 2012. It used the data in the project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itled "The Study on the Social Media Use of Young People". As a result, the extent of social media use and dependence on social media for political information did not affect political efficacy, interest, and voting. Only the Twitter use contributed to promoting voting behavior. Informational and communicative motive for social media use played a role in enhancing political efficacy and pleasure seeking motive in inducing political interest. Political practices through social media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reinforcement of political interest and voting behavior. On the whole, social media played a limited role in the polticial consciousness and particip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가 대학생들의 정치효능감 및 관심, 투표참여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지난 2012년 4월 11일 치르진 19대 총선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2년에 수행한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연구’ 과제의 자료를 활용,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소셜미디어 이용정도와 소셜미디어 의존정도는 정치효능감과 정치관심, 투표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트위터 이용정도는 청소년들의 투표참여를 활성화 하는데 기여하였다. 소셜미디어 이용동기는 정보/교류인 경우 정치효능감을 높이는 데, 즐거움/추억의 경우는 정치관심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정치, 사회적실천행위도 정치관심을 높이고 투표참여를 이끌어 내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결론적으로, 소셜미디어는 청소년의 정치의식과 참여에 제한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목차

초록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논의
  1. 소셜미디어의 개념 및 정치커뮤니케이션적 특성
  2. 소셜미디어와 정치참여
  3.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
 Ⅲ. 연구문제 및 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정치효능감 예측변인
  2. 정치관심 예측변인
  3. 대학생투표참여 예측변인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창호 Changho L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