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나는 꼼수다> 이용이 대학생들의 정치지식, 정치효능감,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 TV, 신문, 인터넷 이용 효과와의 상대적 비교

원문정보

The effects of <Naneun Ggomsuda> on college student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self-efficac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 A comparison with TV, newspapers, and the Internet

송인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podcast, which has been appeared as a new political communication medium by virtue of the rapid diffusion of smart phones and SNS in recent years, on college students' political socializ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makes comparison between the effects of existing media(TV, newspapers, and the Internet) and those of the podcast program ( in the following), which has received hug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ttentions and provoked political and social controversy because of its sarcastic criticism of Korean political issues, on college students' political knowldege, political self-efficac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cluding interest in election and intention to vote. As the results of analyses of the survey data from 733 undergraduate students of 14 universities nationwide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it was found that 30.2% of respondents have used at least once while 69.8% of them have never used it. Males than females uses more and as college students gets older and their political orientation are more liberal, the levels of their uses of are tend to be higher.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analyses for the effects of each medium on the process of political socialization showed that TV and Internet have no significant effect in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In contrast, newspapers and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lmost) all of the dimensions in political socialization including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self-efficac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upon these results, the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the so-called ' syndrome', which has been arisen by the podcast serivice as a new mode of political communication medium and as the alternative political contents,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최근 국내의 스마트폰 및 SNS의 급속한 확산과 더불어 새로운 정치커뮤니케이션 미디어로 등장한 팟캐스트의 이용이 대학생들의 정치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민감한 정치적 이슈들을 비판적이면서도 파격적이고 유쾌한 형식으로 다룸으로써 국내외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정치・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던 팟캐스트 프로그램 <나는꼼수다>(이하 <나꼼수) 이용이 정치학습 과정의 초기단계에 있는 대학생 집단의 정치지식, 정치효능감, 그리고 선거관심 및 투표의향을 포함한 현실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의 미디어들(TV, 신문, 인터넷)과 실증적으로 비교하였다. 전국 1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총 733명의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제19대 총선 캠페인 기간 동안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대학생 집단 중 69.8%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은 <나꼼수>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반면, 30.2%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은 <나꼼수>를 한 번이라도 이용해 본 것으로 확인되었다. 남자 대학생들이 여자 대학생들에 비해 <나꼼수> 이용 정도가 높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정치적 성향이 진보적일수록 <나꼼수> 이용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개별 미디어들이 정치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TV와 인터넷은 대학생 집단에서는 정치적 영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신문과 팟캐스트 <나꼼수>는 대학생들의 정치사회화 과정의 거의 모든 차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었다. 신문은 대학생들의 정치지식, 정치효능감, 정치참여 및 선거(총선과 대선)에 대한 관심과 투표의향에 이르는 모든 차원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대학생들의 정치사회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나꼼수> 이용 역시 대선과 관련한 투표의향만을 제외한 모든 차원에서 대학생들에게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양식의 정치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인 팟캐스트 서비스와 대안적 콘텐츠로서의 <나꼼수>로부터 비롯된 소위 ‘<나꼼수> 현상’의 정치・사회학적 함의를 언론학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목차

초록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선행 연구 및 관련 변인 검토
  1. <나꼼수>의 기술적, 형식적, 내용적 특성
  2. 정치적 미디어 이용의 인지・태도・행위 차원의 효과
  3. 연구문제
 Ⅲ. 연구방법
  1. 조사 설계와 표본 구성
  2. 주요 변인들의 측정
 Ⅳ. 연구결과
  1. 연구문제 1: 미디어의 정치적 이용 행태
  2. 연구문제 2: 미디어의 정치적 이용이 정치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효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인덕 Indeok Song. 중부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