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weeting Politics - An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the motivations for Twitter use among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in South Korea

원문정보

트위터 정치 - 인터넷 정치 이용자들의 트위터 이용 동기에 관한 탐색적 연구

Daekyung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influences of Twitter during the local election held on June 2 2010 in South Korea. First, this study examined motivations for why politically interested Internet users were using Twitter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and then explored what factors could predict the motivations for using Twitter. An online survey of 292 politically motivated Internet users in this study identified three primary reasons for accessing Twitter: political surveillance/information-seeking, convenience /entertainment, and social utility. Correlation analysis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witter reliance and political behavior,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vealed that both Twitter reliance and strength of party suppor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utility motives for accessing Twitter, which may indicate the discursive nature of Twitter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both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witter as a political communication tool. Based on those findings, discussion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followed.

한국어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트위터가 일상생활에서 소통과 관계의 주요한 도구로 대중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정치적으로 관심 있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선거 공간에서 트위터를 이용하는 동기들과 어떠한 변인들이 트위터 이용 동기를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0년 6월 2일에 있었던 지방선거 기간 동안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292명의 트위터 이용자들이 참여했다. 연구과제로는 첫째, 이용과 충족 이론에 기반하여 정치적으로 관심 있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트위터를 이용한 동기에 대해서 살펴보고, 나아가 그러한 이용 동기들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지방선거 기간 동안 온라인 정치 이용자들은 전통적인 뉴스미디어보다 더 트위터에 의존을 하여 선거 관련 뉴스와 정보를 습득한 것으로 드러났다. 선거기간 동안 트위터를 이용함에 있어 이용자들은 세 가지 주요한 동기들-정치적 감시/정보 추구, 편의/오락, 사회적 유용성-을 나타냈고, 상관관계 분석에 의하면 트위터 의존과 정치적 행위 간의 유의미하고 정적인 관계가 존재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변인 중에는 나이, 성별, 그리고 가구 수입이 유의미한 변인들이었고, 신문 구독은 트위터의 정치적 감시/정보 추구 동기에 대한 부정적 변인으로 나타났다. 보다 중요하게는, 트위터 의존과 정당 지지 강도가 트위터의 사회적 유용성 동기를 예측하는 유의미한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거 기간 동안에 정치적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트위터가 유용한 토론의 장으로 역할을 수행했음을 보여준다.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트위터의 정치적 영향에 대한 탐색적 시도로서 본 연구는 앞으로 트위터가 정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보여준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1. The growth and use of Twitter
  2. Internet media and election in Korea
  3.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Ⅲ. Method
  1. Sample and data collection
  2. Variable measurement
 Ⅳ. Results
  1. Respondent profile
  2. Media use and political variables
  3. Motivations for Twitter use
  4. Predictors of motivations for using Twitter
 Ⅴ. Conclusion and discussion
 참고문헌

저자정보

  • Daekyung Kim 김대경. Ph.D.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Mass Communication Idaho State University U.S.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