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spite of the transitional changes in the shoe industry in Busan area, regular academic studies on the management plan to improve the practical competitiveness of footwear industry focused in the materials, bio-dynamics, components, and designs, etc. in the engineering viewpoint are very rare. Many reports of policies were published from late 190’s to 2000’s but they were limited to the identification of practical situations and the measures for strategic alternatives and were not developed to be the academic studie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in terms of management control. It is intended to seek for the measures to be reviewed as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self-competitiveness of footwear companies by approaching the problems limited to such specific area in the viewpoint of management control. The cor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lternative plans for expansion of the industrial foundation by seeking for the measur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with applic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s an alternative for improvement of not transient but sustainable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order to help the export of shoes from Busan area which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Korea-USA FTA and Korea-EU FTA. In such viewpoint, in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related with the issues of Busan’s footwear industry and the plan to implement knowledge management was discussed for improvement of the competitiveness of footwear industry based on the result of such questionnaire survey. As most of studies and directions have been focused in functional shoes, designs, materials, and components, etc., which are related with the properties of human dynamics, as the alternatives for improvement of the footwear industry of Busan area and did not suggest the measures to make basic changes in the management of companies, the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was emphasized in order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such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lternative for construction of industrial eco-system for high added value by seeking for the probability of knowledge management for conversion of footwear industry into knowledge industry. In order to accomplish the effect of increased export as the result of FTA, current management method of footwear companies is limited and the effect of FTA should be maximized by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with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methods. Settlement of such knowledge management will act as the momentum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footwear companies and, in a long-term viewpoint, will be able to maximize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industry and creation of job opportunities.
한국어
부산지역 신발산업의 과도기적 격변 과정에도 불구하고 신발산업의 연구가 주 로 공학적 관점에서 소재, 생체역학, 부품, 디자인 등에 집중되어 실질적으로 신 발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경영적 방안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적 연구 는 매우 희소하다.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초에 여러 정책보고서들이 발간되었 지만 그것들은 실태 파악과 정책적 대안 모색에 한정되었고, 경영관리적 측면에 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로는 발전되지 못했다. 이러한 특정분야 에 한정된 문제들을 경영관리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신발기업들의 자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검토해야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 미, 한 EU FTA 발효 이후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부산지역 신발수출 증대에 기여하기 위해 서는 일시적인 아닌 지속가능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지식경 영의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하여 산업기반 확충을 위한 대안을 마 련하고자 하는 취지가 본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부산신발산업의 현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신발산 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지식경영도입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나 방향들이 부산지역 신발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대안 으로서 인체역학적 특성과 관련된 기능성 신발, 디자인, 소재 및 부품 등에 초점 을 두고 있어 근본적인 기업경영에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않 고 있어 이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지식경영의 도입을 주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신발산업의 지식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지식경영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산업적 생태계조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함에 있다. FTA 체 결에 따른 수출증대효과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현재의 신발기업들의 경영방식으로 는 한계가 있으므로, 지식경영방식의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통해 FTA효과 의 극대화를 도모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식경영의 정착은 신발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어 장기적으로는 지역산업의 부흥 및 고용창출의 효과를 극대 화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최근 신발산업의 동향
1. 세계 신발산업 동향
2. 부산 신발산업 현황
Ⅲ. 부산지역 신발업체의 경영환경 분석
1. 수출환경 및 수출환경악화요인
2. 수출지역
3. 환율문제
4. 수출 경쟁력
5. 디자인
6. 수출경쟁력 향상
7. 해외마케팅
Ⅳ. 지식경영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
1. 디자인경영신발 도입을 통한 경쟁력 강화
2.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통한 지식산업화방안
3. 생산방식의 변화를 통한 지식산업화 방안
4. 부품·소재 업체들의 지식경영도입방안
5. 디자인 전문기업의 경쟁력강화를 통한 지식경영 도입방안
6. 해외시장 개척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