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BSC 도입기업의 공유가치창출(CSV) 지표와 기업가치의 관련성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evance of the BSC Adoption Firm`s CSV index to the Firm Value

배병한, 김현아, 이채리, 왕옌, 김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PI of the four perspectives in BSC need to modify because of the change of management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KPI of the financial perspective needs to modify necessarily. The KPI of financial perspective has been consisted of short-term measures: net profit current year, operating profit, ROE, ROIC, and EVA. But this financial indicators cannot afford to represent essential corporate sustainability management in the change of management environment. So this study suggests CSV(Creating Shared Value) as an additional KPI of financial perspective. And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SV represents business performance as the additional KPI in BSC adoption firms. To verify a hypothesis, the sample includes listed firms announcing CSR index publicly between 2005 and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 CSV firms is higher on the value relevance of firm in comparison with low CSV firms. Moreover, The firm value of BSC adoption firms is lower than otherwise, but it is insignificant. Limitation of Our study is that we have no choice but to use dummy variable. Because it is a material question as CSV measurement. Nevertheless, contribution of our study is to suggest new KPI of BSC perspective to meet management environment.

한국어

최근의 급격한 환경변화는 BSC 도입기업에서 사용하는 핵심성과지표(KPI)의 수정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BSC의 네 가지 관점 중 기업의 성과를 나 타내는 재무적 관점의 KPI는 기업의 단기적 성과를 대표하는 재무적 지표로만 구 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표로는 현재의 기업환경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은 사회적 책임(CSR)과 지속가능경영을 대변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무적 관점의 KPI로 사용하고 있는 이익 기반의 성과지표를 보완할 수 있는 공 유가치창출(CSV)지표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CSV의 타당성은 지속가 능경영 및 CSR과 기업가치와의 관련성을 통해 검증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 지를 연구 기간으로 KEJI를 공시하고 있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BSC 도입기업이든, 미도입기업이든 CSV가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서 기업가치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SC 도입기업의 기업가치는 BSC 미도입기업의 기업가치보다 낮았으나 두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CSV지수 측정치의 구성 요소 간에 단위가 다르다는 본질적인 문제로 인해 비율척도로 나타낼 수 없어 좀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없다 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경영환경에 맞추어 BSC 관점의 새로운 성과측정지표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공헌점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의 검토
  3.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1. 표본선정
  2. CSV에 따른 연구집단 구분과 주요 변수의 측정
  3. 연구모형
 Ⅳ. 실증분석
  1.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2.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병한 Bae, Byung-Han.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 김현아 Kim, Hyuna.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부 박사과정
  • 이채리 Lee, Chae-Ri.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부 박사과정
  • 왕옌 Wang Yan.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부 박사과정
  • 김민정 Kim, Min-Jung. 경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부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