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ploration of academic problem between self and subject matter among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mathematics
초록
영어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motivations of entering college of education and academic problems that pre-service teachers encounter under the curricular activities. We analyze the phenomena of professional development under the four categories: motivation toward entering college of educ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future vision. We conducted survey for the S university students first and interviewed 3 selected participants. Almost 50 students from college of education participated answering to the surveys. Using SPSS pack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reshmen,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in any category. Male stude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female students in all the categories. To explore survey results deeply, we selected 3 students from sophomore and junior levels and 2 extra senior students to conduct interviews. The interpretation of the data described how their academic problems unfold partly because they seek another major and how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ake place carrying out practicum activities. Most of the interviewees felt that their academic lives were affected motivations of entering college of education and difficulties of studying subject matter knowledge. At the end, several suggestions are added for future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수학 예비교사들이 수학 공부에 대하여 어떤 형태로 동기 유발을 하는지, 학업의 문제와 관련하여 교과목을 이수하는데 대한 견해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연구할 수 있다. 학생들이 느끼기에 수학이란 어떤 것이며 수학에 대한 관심사가 어떻게 펼쳐지는지에 대한 인식과 그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도 및 중요성에 대한 내적 외적인 요인을 탐색하고 개별 학생이 어떤 학업의 문제를 갖고 있는지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먼저 사범대학 진학 동기 및 선행 경험, 교육학 및 교과교육학 지식, 전공 공부, 일상생활 및 장래 비전이라는 네 범주에 따라 수학과 예비 교사들이 교직 전문성을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1,2,3학년생 4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면담을 통하여 교육과정 만족도와 교과교육학 지식의 습득 및 장래 비전을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범주에 따라 성별에 관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육학과 전공 공부 사이에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우리는 수학과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면담한 내용을 토대로 진학 동기 및 과외 경험 및 수학 전공 공부와 관련된 학업의 문제를 질적으로 해석하였다. 이런한 학업의 문제가 예비교사의전문성 개발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관한 논의를 다루었다.
목차
II. 이론적 배경
1. 관련 연구
2. 질적 연구 사례
III. 연구방법
IV. 설문 분석
V. 면담 자료 해석
VI. 논의 및 제언
1. 설문 조사
2. 면담 해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