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sudden emergence of Ahn, Chulsoo syndrom since 2011 has been made possible by people’s serious disappointment at conventional politics of Korea. Therefore his approach to get the people’s support has been very different from that of presidential candidates of major political parties. This study compares different political speech styles of three candidates of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Park, Gunhye has been speaking in a serious manner and Moon, Jaein has been humble like an uncle. Ahn, Chulsoo talks like a confessing friend.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how people need to make a responsible decision for the future of Korea.
한국어
2011년 9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상황에서 등장한 안철수 현상은 기존의 정당 정치에 대한 불신과 혐오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2012년 18대 대선의 분위기나 선거 관련 준비와 경쟁 등은 기존의 그것과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즉 정당 정치에 대한 불신 속에 등장한 안교수는 기존의 후보 선출 과정과 정치인으로써의 신고식 등에 대해서는 별 관심을 내비치지 않고 신비주의, 예능프로 출연 등과 독특한 화법으로 지지층을 유지 확산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정당 정치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박근혜후보, 문재인후보가 후보로 선출되기 위해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정치적 발언과 그 스타일을 통해 살펴보고 동시에 안후보는 어떤 발언과 행동을 통해 지지율이 높은 무소속 후보로 스스로 대선 출사표를 던질만한 정치적 입지를 다졌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세 후보는 정치적 발언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 발언을 행한 공간의 선택 또한 서로 다른 점이 꽤 있다. 근엄한 스타일, 시골 아저씨 스타일, 사이버게임 전략가 스타일 등으로 이름붙여 보았다. 아울러 정치를 해온 혹은 하는 스타일 또한 상당히 다른 바가 있어 이 또한 비교의 관점에서 논의해보았다. 후보들의 정치적 발언의 스타일이 매우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새로운 환경에서 유권자인 시민들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결정을 하기 위해 어떤 자세로 고민하고 선택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결국 세 후보 진영은 국정 비전과 정책 내용을 제대로 준비하고 진정성 있게 설득 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세 후보의 정치적 발언 및 스타일
1. 박근혜 후보의 정치적 발언 및 스타일
2. 문재인 후보의 정치적 발언 및 스타일
3. 안철수 후보의 정치적 발언 및 스타일
4. 박근혜ㆍ문재인ㆍ안철수 대선출마 선언문 키워드 그래프
Ⅲ. 맺는 말: 국민의 선택
1. 세 후보 앞에 놓인 과제
2. 야권후보 단일화와 박근혜 캠프의 대응
3. 국민의 지혜로운 선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