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focusing on both the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centering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both the mediating effects of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center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umination and suicidal ideation.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uminative Response Scale (RRS), Experiences Questionnaire(EQ) and Scale for Suicidal Ideation(SSI) were administered to the five hundred eighty undergraduate students recruited from Seoul, Gyunggi and other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umination (brooding and reflection)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decentering ability moderated the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rumination. In other words, the participants with high ability of decentering was able to lower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although the level of rumination, including brooding and reflection was high.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rumination tends to increase suicidal ideation risk by mediating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nd decentering ability functions as the protective factor for reducing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rumination. Therefore, the risk of suicidal ideation is likely to be high, if th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ruminate in order to escape the depressed mood or to solve problems when they are in depressed mood. However, they are able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f they focus on decentering and take a perspective of their problems. The limitations and ideas for the further study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내부초점적반응양식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탈중심화가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및 기타 지역에 소재하는 남녀 대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 반추적 반응 척도, 탈중심화 척도, 자살생각 척도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인 반추와 반성은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고, 둘째, 탈중심화는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인 반추, 반성과 각각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조절하였다. 즉 탈중심화 수준이 높으면 반추와 반성의 수준이 높아도 자살생각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반추와 반성이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를 부분 매개함으로써 자살생각을 증가시키는 인지적 위험요인이고, 탈중심화가 반추, 반성과 상호작용하여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인지적 보호요인임을 시사한다. 그리고 우울한 기분일 때 그러한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내부초점적 반응을 취한다면 자살생각을 하게 될 위험이 더 높아질 수 있고, 내부초점적 반응을 하는 상태에서 탈중심화된 관점을 가지려고 노력하면 자살생각을 줄일 수 있다는 임상적 함의를 가진다.
목차
방법
연구대상
측정도구
자료분석
결과
연구변인의 평균, 표준편차 및 상관관계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의 매개효과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탈중심화의 조절효과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