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택리지』 초기필사본 추정을 위한 서지적 고찰

원문정보

A Bibliographic Approach Towards the Identification of the Early T’aengniji Manuscripts

최인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rst, select useful bibliographic data, and second, use this data to identify the copy dates of the T’aengniji manuscripts copied during the first 60 year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book by Yi Chung-hwan(1690-1756) in 1751. This exercise is based on a selected analysis of the ninety-two T’aengniji manuscripts stored in libraries in Korea and abroad.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early versions of the Taengniji manuscripts I have examined several bibliographic sources. These include any copy dates provided by the libraries, the record of the copy years noted inside the manuscripts, the variations in the title of the book, the records identifying the copier of the manuscript and the appendices. The copy dates currently provided by the libraries mainly identify those manuscripts that were copied in later years. Because T’aengniji was hand copied over nearly two centuries and the copy dates in the manuscripts are expressed in a sexagenary cycle, the indication of the copy dates in the manuscripts must be cross checked with other bibliographic information. I have found that the bibliographic sources that are directly useful in identifying the early manuscripts of T’aengniji are the names or pseudonyms of the copiers, their explanation of the coverage of the manuscript’s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appendices and the record of the year according to the sexagenary cycle. Through a cross examination of the above selected bibliographic criteria, I have been able to identify T’aengniji(擇里誌, Dongguk University) and Tongguk p’aryŏkchi (東國八域志, Yonsei University) as early T’aengniji manuscripts. The content of the first half of T’aengniji(擇里志) in P’aerim(稗林, Yonsei University) can also be regarded as that of an early T’aengniji manuscript.

한국어

이 연구는 이중환(李重煥: 1690-1756)이 저술한 『택리지』의 필사본 중 저작이 끝난 1751년 후 60년 이내에 필사되었을 본을 추정하기 위한 형태 서지적 고찰이다. 우선 국내외 도서관에 소장된 92종 『택리지』 필사본의 형태적 양상 중 필사시대 추정에 있어서 유용한 지표를 선택했다. 그 다음에 기존 간사년 서지정보, 간지, 서명, 서발문, 필사자 표기 및 필사 내용설명, 부록 등을 조사하여 필사본들의 필사시기를 도출하는 데에 유용한 서지 정보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필사시기에 대한 소수의 기존 정보는 후기본에 편중되어 있고 『택리지』의 필사시기가 2세기 가까이 걸쳐 있는 실정에서 초기 필사본 파악에 직접적으로 유용한 변별기능을 갖는 형태 지표는 필사자 표기 및 필사한 내용에 대한 필사자 자신의 해설, 부록, 간지 등인 것으로 드러났다. 여러 필사본을 비교하며 초기본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발표자는 다음 방법이 필사시기 파악에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먼저 필사자를 확인하여 생몰년을 보고 시대적 정보를 알려주는 부록과 간지에 의거하여 가능성 있는 필사년을 추출한 다음 기타 정보에서 가능한필사시기의 범위를 잡아 간지가 가리키는 필사년 중 가장 타당한 필사년을 지목하는 것이다. 이 방법을 통해서 필사본 『擇里誌』(동국대본, 911.51이77ㅌ2)는 1796년에, 『東國八域志』(연세대본, 고서 III 4294)는 1792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했다. 연세대 소장 『稗林』에 들어있는 『擇里志』의 전반부는 1751년이나 1752년에 필사되어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시기에 필사된 『택리지』 필사본의 내용인 것으로 보인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이중환과 『택리지』 필사본
 3. 형태지표의 선택과 적용
  3.1 기존 서지의 간사년 표기
  3.2 필사본에 든 필사년 표시
  3.3 서명
  3.4 서문과 발문
  3.5 필사자 표시 및 필사 내용의 설명문구
  3.6 부록 및 기타 정보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인실 Inshil Choe Yoon. 오클랜드 대학교 부교수 Senior Lecture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