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making for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ppling the Complexity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ity theory as a background theory are reviewed, and also used to analyze the change of policy environment and the dynamic interactions from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adopting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olicy decision-making over time. The result shows that it is possible for us to apply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making for the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the complexity system, because the process was showed the dynamic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ity system and networks, such as non equilibrium, non linearity, resonance field, butterfly effect, attractor, critical point, feedback, fractal, and self-organization. This study can provide substantial guidance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making through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ity system within the educational policy. In spite of the limitation in research design, the overall results and suggestions would contribute to the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of educational policy for improvement of its effects.
한국어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결정 과정에서 나타난 정책환경과 상황의 변화과정을 최근 과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복잡계의 관점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복잡계 이론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분석을 위한 틀을 마련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 결정과정에 관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한 행위자들의 역동적인 상호작용 양태를 복잡계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바탕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결정과정은 수많은 행위자와 메타 행위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복잡계로서 이해할 수 있으며, 정책결정과정이 정책관련 행위자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질서로 창발해 나가는 복잡계의 다양한 특성(비평형성, 비선형성, 공명장, 나비효과‧끌개, 임계점, 되먹임, 프랙탈, 자기조직화 등)을 보여주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교육정책을 입안하고, 결정하고, 집행해 나가는 과정에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나아가 복잡계 이론은 교육정책 연구의 이론, 연구, 실제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추진 과정
2. 복잡계 이론
Ⅲ. 연구방법
1. 연구 모형(분석의 틀)
2.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1.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결정 과정의 비평형성
2. 교원능력개발평가 정책결정 과정의 비선형성
3. 공명장( )
4. 나비효과‧끌개
5. 임계점‧임계현상
6. 긍정‧부정의 되먹임
7. 자기유사성‧프랙탈
8. 자기조직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