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Program for the Recovery of Alcoholics
초록
영어
In Korea, treatment for alcoholism has been provided with focus on hospital treatment, but outpatient treatment has drawn attention as studies conducted since 1990 have proven that outpatient treatments employing diverse treatment models are effective in a foreign country. But In Korea, a study on an integrated outpatient treatment program can hardly be foun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alcoholism treatment program that integrates behavior therapy, cognitive behavior therapy, spiritual therapy, reality therapy, and music therapy. Forty participants who were diagnosed as alcoholic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20 participants each which is called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treatment program by administering a pretest, a post-test, and a follow-up test for both group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test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continuous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pretest and post-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and pretest and follow-up test for alcohol use, alcohol use urge, and anger,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readiness to change,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and spirituality and recovery, respectively,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esults of the continuous qualitative analyses for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the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the integrated alcoholism treatment program changed the subjects’negative way of alcohol use, change readiness, abstinence self-efficacy, alcohol urge, anger, spirituality, recovery, thinking, emotions, behaviors, and activities into positive ones. Therefore these results supported hypotheses of the study problem.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treatment program that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has been proved. So therapists can utilize the integrated treatment program for the recovery of alcoholics. It is also expected that diverse integrate treatment programs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covery of alcoholics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어
우리나라에서는 알코올중독치료가 병원입원치료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국에서는 1990년 이후 다양한 치료모델방법들을 적용하는 외래치료도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통합적인 외래치료프로그램개발과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래서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을 위해 행동치료, 인지행동치료, 영적치료, 현실치료, 음악치료를 바탕으로 통합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되었다. 알코올중독으로 진단받은 알코올중독자 20명씩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배정하였다. 통합치료프로그램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유사 실험설계로 연구를 하였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조사·사후조사·추후조사를 실시하여 양적분석과 질적분석을 통해 프로그램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양적분석 결과, 알코올사용, 알코올충동, 분노에서 사전과 사후, 사후와 추후, 추후와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비교집단의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변화준비, 단주자기효능감, 영성, 회복에서 사전과 사후, 사후와 추후, 추후와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의 점수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비교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양적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실험집단의 참여자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들에 대한 지속적인 질적분석 결과, 알코올중독상태에서의 음주사용, 변화준비, 단주자기효능감, 알코올충동, 분노, 영성, 회복, 사고, 감정, 행동, 활동들이 통합치료프로그램을 받은 후에는 단주상태에서 긍정적인 변화들이 일어났다. 따라서 이 연구문제의 가설들은 지지되었고, 이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치료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으므로 치료자들이 통합치료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알코올중독자들의 회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통합치료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알코올중독자들의 회복에 도움을 주길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알코올중독의 치료모델
2. 알코올중독과 통합치료
Ⅲ. 알코올중독자회복을 위한 통합치료프로그램의 개발
1. 알코올중독자회복을 위한 통합치료프로그램의 개발배경
2. 통합치료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
3. 알코올중독자 회복을 위한 통합치료프로그램의 특징
4. 알코올중독자 회복을 위한 단기통합프로그램 개발과정
5. 알코올중독자 회복을 위한 통합치료프로그램 목적과 내용
Ⅳ. 연구방법
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연구대상
2. 연구설계
3. 연구문제
4. 측정도구
5. 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및 분석
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동질성 비교
2. 통합치료프로그램효과성에 대한 분석 및 검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