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어린이집의 무장애 디자인 환경 분석

원문정보

An Environment Analysis of Barrier-Free Design in Nursery School

손화희, 김봉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barrier-free design in nursery environment by surveying 199 nursery schools in Seoul. It aimed to identify components to consider in nursery environment design and needs on barrier-free design of nursery environment to enhance throu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were used as study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requirements on barrier-free designed environment. The study result showed, first, barrier-free design components for nursery environment design are ‘comfort’, ‘safety’, ‘accessibility’ and ‘identification,’ and components not related to barrier-free design are ‘economic feasibility’, ‘beauty’, ‘convenience’ and ‘space.’ Second, the aspect requiring concentrated efforts among components of nursery environment was ‘soft and bright lighting.’ It show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 Aspects requiring concentrated efforts in barrier-free design were ‘safety of floor’, ‘removal of threshold’ and ‘safety of restroom.’ It showed improvements were demanded in matters related to safety of most rooms and spaces. Third, analysis of design components of nursery environment showed aspects requiring concentrated efforts are ‘economic feasibility’, and ‘accessibility’ and ‘space’ components asked for less urgent effor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무장애 디자인에 대한 인식 실태를 분석하고 보육환경디자인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보육환경의 무장애 디자인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의 성취도를 평가하고 비교함으로써 무장애 디자인에 대한 욕구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서울지역 어린이집 199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와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환경 디자인의 구성요소 가운데 무장애 디자인의 구성요소로는 ‘쾌적성’, ‘안전성’, ‘접근성’, ‘식별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장애 디자인을 뺀 나머지 요인으로는 ‘경제성’, ‘심미성’, ‘편리성’, ‘면적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환경 구성요소 가운데 집중적으로 노력이 요구되는 차원은 ‘부드럽고 밝은 실내조명’으로 나타나 실내 환경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무장애 디자인에 있어서의 집중노력필요 차원은 '바닥의 안전성', '문턱의 제거', '화장실의 안전성'으로 나타나, 대부분 공간이나 장소에서의 안전성과 관련된 사항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환경 디자인 구성요인별로 살펴보면, 집중노력이 필요한 차원은 경제성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우선순위 차원으로는 접근성과 면적성 요인이 해당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무장애 디자인의 개념
  2.2. 어린이집 보육환경의 중요도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연구절차
  3.4. 자료분석
 4. 연구결과
  4.1. 무장애디자인에 대한 인식
  4.2. 어린이집의 무장애디자인 구성요소
  4.3. 어린이집의 무장애디자인 요구도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손화희 Sohn, Hwa Hee.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과 교수
  • 김봉선 Kim. Bong Sun.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