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역사적 경관의 복원과 장소 정체성의 재구성

원문정보

Restoration of Historical Landscapes and Reconstitution of Place identity

최병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nsider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restoration of historical landscapes and reconstitution of place identity through a conceptual examination on (re)creation of urban landscape and place identity in capitalist cities. Landscape is constituted with physical form, social function, and symbolic meaning, and hence can be interpreted in a synthesis of the three elements. Place can be seen not merely as a site of landscape, but as a spatial complex of those three elements. Development of capitalist cities have destructed most of historical landscapes and places constructed in traditional contexts of everyday living, and preserve selectively or restore some of them, or create new landscapes and places in order to promote capital circulation and/or to strengthen dominant power.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creative destruction’ seems to characterize properly the preservation, restoration or (re)creation of landscapes and places in the process of neoliberal urbanization.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 of creative destruction and to develop alternative approaches, it can be suggested that Heidegger’s phenomenology or Foucault’s postmodern theory should be combined with the political economic perspective. In addition, a politics of place which can be conceptualized as open, relational, and practical, should be emphasized for alternative landscapes and places-making.

한국어

이 논문은 자본주의 도시의 경관 및 장소 형성과 변화에 관한 문헌 검토와 개념적 연구를 통해 역사적 경관의 복원 및 장소 정체성의 재구성의 의의와 한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경관은 3가지 요소들, 즉 물리적 형상, 사회적 역할, 상징적 의미로 구성되며, 장소는 이러한 3가지 요소들의 공간적 복합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경관과 장소에 관한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종합적 접근과 더불어 ‘집단적 기억’과의 관련성에 관한 고찰로 전개되고 있다. 자본주의 도시의 개발과정은 전통적, 일상적 생활 속에서 이루어진 역사적 경관이나 장소들을 파괴하고, 자본의 순환과 지배권력의 이해관계를 반영하여 역사적 경관과 장소를 선별적으로 보전 또는 복원하거나 새로운 경관이나 장소를 창출하기도 한다. 특히 신자유주의적 도시화 과정에서 전개되는 ‘창조적 파괴’는 이러한 경관과 장소의 보전, 복원, 창출 과정을 특징지운다. 자본주의 도시에서 추진되는 이러한 창조적 파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연구의 바탕으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이론이나 푸코의 포스트모던 이론과 더불어 정치경제학적 접근이 제시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 경관 및 장소 만들기를 위해 개방적·관련적·실천적 장소의 개념에 바탕을 둔 장소의 정치가 강조될 수 있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역사적 경관과 장소 정체성
  1) 경관의 개념과 장소 정체성
  2) 경관의 역사성과 집단적 기억
  3) 경관과 장소의 보전과 복원
 3. 자본주의 도시 경관과 장소의 변화
  1) 자본주의 도시 경관의 창조적 파괴
  2) 지배 권력과 장소 정체성의 변화
 4. 경관 및 장소에 관한 대안적 연구와 실천
  1) 경관 및 장소에 관한 대안적 연구
  2) 장소의 정치와 대안적 장소 만들기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최병두 Choi, Byung-Doo.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