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저항의 공간

서울의 저항과 대안의 공간 및 운동 변화 분석

원문정보

Analyzing Changes in Space and Movements for Opposition and Alternatives in Seoul

박인권, 이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cent ‘Yongsan-tragedy’ and Community Building Projects represent a duality of power relationship around civil society in Seoul. While the state-civil society relation is characterized by oppression and opposition in the first case, it is characterized by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second. This study seeks the source of this duality by analyzing changes in space and movements for opposition and alternatives in Seoul over the past 20 years, using the triadic framework of the state-the market-civil society. We explain that expansion of democracy and neo-liberalism as counteracting forces affects the triadic relations, leading to the duality of power relation around civil society in Seoul. Opportunistic behaviors of the state and local regime, institutionalization of urban social movements, and coexistence of participatory and oppositionary movements are all outcomes of the two contradictory occasions. From these findings, we der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itizens’ movements in Seoul.

한국어

근래 들어 발생한 용산참사와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은 서울의 시민사회를 둘러싼 권력관계의 양면성을 보여준다. 한편에서는 국가-시민사회의 관계가 억압-저항의 관계로, 다른 한편에서는 협력-참여의 관계로 완전히 상반되게 나타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양면성의 근원을 찾기 위해 지난 20여 년간 변화해온 시민사회의 저항과 대안의 공간 및 운동의 변화를 국가-시장-시민사회 삼각관계라는 틀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특히 우리는 민주주의의 확대와 신자유주의의 확산이라는 모순적 계기가 한국의 국가-시장-시민사회의 관계의 변화를 규정해왔고, 이러한 모순적 계기가 시민사회를 둘러싼 권력관계의 양면성을 초래하고 있음을 규명한다. 그리고 국가의 기회주의적 행태, 서울의 도시사회운동의 제도화, 지방정치체제의보수와 진보 사이에서의 동요, 참여적·저항적 운동방식의 공존 등의 현상은 이러한 모순적 계기의 산물임을 밝혀낸다. 이러한 발견들로부터 우리는 서울시민의운동에 대한 실천적 의미를 도출한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시민사회의 활동공간과 변화의 계기들
  1) 국가-시민사회-시장의 관계
  2) 세 영역 간 관계변화의 계기들
 3. 문민정부 이후 서울시민의 저항/대안운동 약사
  1) 주거권 운동
  2) 영세상인 및 노점상 운동
  3) 지역공동체 운동
  4) 생활협동조합 운동
 4. 서울시민의 저항/대안 공간의 변화 분석
  1) 민주주의의 진전과 국가의 약화
  2) 지방자치와 시민사회 활동공간의 확장
  3) 신자유주의적 시장질서의 확장
 5. 서울시민의 저항/대안 운동의 변화 분석
  1) 운동 성격의 변화
  2) 운동 주체의 변화
  3) 활동영역의 변화와 영향력 증대
 6.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인권 Park, In-Kwon.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 조교수
  • 이선영 Lee, Seon-Young. King’s College London 지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