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조선시대 한글 간찰과 이메일의 상투적 표현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and Email

전병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f Hangul Ganchal in Cheosun Dynasty and Email. Conventional expression is used remarkably in introductions and conclusions. In introduction, it is used for addressing and safety greetings while in conclusion, it is used for closing address and closing words. In Cheosun Dynasty, an envelope of Ganchal only included the details of the receiver because the letter was genuinely delivered by someone who knew the receiver and the sender very well. An envelope of Ganchal is applicable to the screen of the internet which is used for emailing. In an email, we see the name of the sender and the title of the text and once we click the title, we are able to view the tex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anchal and the email was reflected on how the receiver’s detail showed on Ganchal and the email show the sender’s details. In a case of addressing in a letter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expression, we can see how we use “To∼” in humble term and “ ∼께” in a honorific term. We confirmed that the conventional expression has not yet settled in both of the Gnachal and email for the seasonal greetings. The safety greetings comprised with both of the senders’ and receivers’ latest updates. In Ganchal, this composition is well described conventionally, whereas in emails, only the receivers’ latest news are written but the senders’ latest updates are hard to be seen throughout the text. In Ganchal’s closing section, the closing address and closing words were expressed conventionally. However, in the case of email; those were again hard to be found throughout. To conclude, in Ganchal the conventional expression was developed and placed in 16thcentury(Sun-eon) when there was a focus in our native language. In 17thcentury(Hyeon-eon), it stood still for a sometime and moved on to 19thcentury(Jing-eon) when there was a strong in fluence of Hangul Ganchal, which resulted in regression to the conservative expression. In general, we are able to confirm that the conventional expression is slowly disappearing.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조선시대 한글 간찰과 이메일을 대상으로 상투적인 표현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상투적 표현은 일반적으로 書頭부분과 結末부분에서 두드러지게 쓰인다. 서두에서는 呼稱과 安否人事에서, 結末에서는 結末人事와 結句에서 많이 쓰인 것을 알 수 있었다.人便을 통해 주고받던 조선시대 한글 간찰의 피봉(겉봉)에는 대부분 受信者의 정보만 담기는데, 간찰의 傳達者가 發信者와 受信者를 잘 아는 사람이기에 굳이 발신자의 상세한 정보를 피봉에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호칭 상투적 표현의 경우, 卑稱에서는 ‘∼에게’ 형이, 尊稱에서는 ‘∼께’형이 간찰과 이메일에서 두루 쓰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계절인사는 간찰이나 이메일 모두에서 상투적 표현으로 자리 잡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안부인사는 [수신자 안부 + 발신자 안부]의 구성을 보이는데, 간찰에서는 이 구성이 상투적 표현으로 잘 드러나지만, 이메일의 경우는 상투적 표현으로 [수신자 안부]만 어느 정도 드러나고 [발신자 안부]는 상투적 표현으로 자리 잡지 못하였으며 생략되는 일도 흔하였다. 결말에서는 간찰의 경우, [결말 인사 + 결구]의 구성에서 상투적 표현이 잘 드러나지만, 이메일의 경우, 상투적 표현이 자리 잡지 못하였으며 생략되는 일도 흔하였다. 결론적으로 상투적 표현은 간찰의 경우, 16세기 <순언>에서 고유어 중심의 표현이 자리 잡기 시작하였으며 17세기 <현언>에서는 답보상태를 보이다가 19세기 <징언>에서는 한문 간찰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보수적 표현으로 퇴행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메일에서는 전반적으로 상투적 표현이 사라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Ⅰ. 序論
 Ⅱ. 本論
  1. 皮封
  2. 書頭
  3. 結末
 Ⅲ. 結論
 <참고 문헌>

저자정보

  • 전병용 Jeon, Byeong-yong. 단국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