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Bowen's family 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narrative analysis of Korean novels, three Regis - tration Subsection.Bowen's description of the individual's behavior is causing problems within the family of anxiety and self-differentiation using two variables. The home if problems or conflicts expressed in these works, the figures showed that the undifferentiated ego at the center of the problem. Undifferentiated ego character felt extreme anxiety when their alienation from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oriented jeokjangja Undifferentiated ego to relieve anxiety and to consolidate their position in the family relationship, so people were strongly united with each other. 『Sohyunseongnok』, 『Chossisamdaerok series』 structures and patterns of a series of domestic problems occur, "mother and son, self-differentiation self un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 ego and self-differentiation mother son, mother and self-ego un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can be subdivided into the son '.Established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U.S. established the presence of a pattern, healer, depending on the deployment method depends narrative. And is divided accordingly, self-determination and to the Son, a son, a son to be born again through repentance of the executi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healer than what was described on the deployment structure differs. Undifferentiated ego and self undifferentiated mother son family therapist within the family, the problem is solved. Son, a son to repent and be born again, and that caused the problem. Ego Undifferentiated mother and son self-differentiation, undifferentiated ego and self-differentiation mother son home my healer in the absence son committed suicide and executions each tragedy occurred. Personal level, but occurred at home conflicts or problems about this when analyzing the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by applying the theory of Bowen's Family Therapy view dimen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were. Toughness or desire of any one individual, but serious conflicts and problems within the family, the institution of the family itself is the root cause was. And was able to reveal aspects of narrative flow,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therapists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his role in the rest of the family comfort and peace determines whether the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received an important narrative of men and axis formation. In a gauze-like situation of this problem in the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a personal desire or toughness in confined without the dimension of the entire family. And extrinsic psychological approach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wall in the main narrative of the sufferings of women of Korean novels, approached significance.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의 관점에서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의 서사를 분석하였다. 보웬은 가족 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개인의 행동을 설명함에 있어 자기분화와 불안이라는 두 변인을 사용하였는데 이들 작품에서 문제나 갈등이 표출된 가정의 경우, 문제의 중심에 자아 미분화된 인물이 존재하였다. 자아가 미분화된 인물들은 적장자 위주의 가족 관계에서 소외될 때 극도로 불안감을 느꼈으며, 불안을 해소하고 가족 관계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자아 미분화된 인물들끼리 연대의식을 강하게 발휘하였다.『소현성록』과 『조씨삼대록』 연작의 가정 내 문제 발생의 구조와 양상은, ‘자아 미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분화된 아들, 자아 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미분화된 아들, 자아 미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미분화된 아들’로 세분화할 수 있다. 서사 전개 방식에 있어 이들 간의 공생 관계 성립과 미성립, 치료자의 존재 양상 등이 달랐으며, 그에 따라 자결하는 아들, 처형당하는 아들, 회개를 통해 거듭나는 아들로 나뉘어졌다. 서술상의 전개나 구조는 무엇보다 치료자 존재 유무에 따라 달라졌다. 자아 미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미분화된 아들의 경우, 가족 내에 치료자가 존재함으로써 가족문제는 해결되고, 문제를 일으킨 아들은 회개하여 거듭나는 아들이 된다. 그러나 자아 미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분화된 아들, 자아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미분화된 아들은 가정 내 치료자 부재로 각각 아들이 자결하고 처형되는 비극이 빚어졌다. 이처럼 보웬의 가족 치료 이론을 적용하여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을 분석했을 때 가정에서 발생한 갈등이나 문제에 대해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가족 간의 관계 차원에서 조망이 가능하였다. 즉 가정 내의 심각한갈등과 문제는 어느 한 개인의 인성이나 욕망이 아니라 가족 제도 자체에 근본 원인이 있었다. 그리고 가족 치료자의 유무에 따라 서사의 전개양상이 크게 달라졌는데 그의 역할에 따라 나머지 가족의 안위와 평화여부가 결정됨으로써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에서 남성의 수신은 중요한 서사축을 형성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 속의 문제 상황을 한 개인의 욕망 혹은 인성에 국한하지 않고 가족 전체의 차원에서 살피고 심리학적 외재적 접근을 통하여 삼대록계국문 장편소설의 주요 서사인 여성수난담의 배경에 대해 접근한 것에의의를 두고자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에 관한 기본적 고찰
Ⅲ. 치료자의 존부와 아들의 운명
1. 치료자 부재 : 자결하는 아들
2. 치료자 부재 : 처형당하는 아들
3. 치료자 존재 : 거듭나는 아들
Ⅳ. 치료자 서사의 의미
Ⅴ.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