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趙璥詩의 天機流露樣相과 그 意味

원문정보

The aspect of the revelation of profound secrets of nature in the Poetry of Jo Gyeong[趙璥] and its meaning

조경시의 천기유로양상과 그 의미

柳浩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oetry of Haseo Jo Gyeong is first characterized by its fantasy content with mysterious and strange beings such as mountain wizards, gods of flowers, ghosts, Jujos and dragons. Such works imply the huge gap between his political ideal of Neo-Confucianism and the reality of society and are expressions of his resulting sorrow. Of course, he did not just look at reality pessimistically. Like other Neo-Confucianism scholars, he used the symbol of "spring" in his poems, which indicates that he did have optimistic belief in the world in spite of despair. In his poems, the symbol of "spring" implies the political world where the noble man grabbed the power and the sinister groups were extracted or the world where the political ethics of Neo-Confucianism was implemented. His works depicting the essence of natural objects, mountains, and rivers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try more clearly. He described the law of the universe behind natural objects and the vibrant aspects of natural objects by depicting their movements in a clear and sharp manner. Unlike the old Neo-Confucianism scholars that often created poems on the topic of acquirement of natural law and nature, he expanded his poetic world in a direction of revealing the secrets of objects. His works describing the spirit of mountains and rivers are especially noteworthy in that they implied a life attitude of moving forward in an deteriorating world bravely by manifesting strong and dynamic power. Paying attention to the secrets of natural objects, Haseo displayed his life ideal in richer ways by painting the new forms of ume flowers. Unlike the old ume flowers poems in the past, his ume flowers poems present ume flowers as ascetics that obtained truth, men of virtue that inspired contemporary people, or retired gentlemen that revealed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 While it is unique that he manifested the forms of ume flowers in ascetics and men of virtue while perceiving the dark reality of society, it is more noteworthy that he described ume flowers as the beings revealing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 It was the expression of his yearning for an innocent personality and his fear for losing the personality, clearly depicting a human form of his ego. He created a more human and realistic personality ideal by embracing the contemporary thinking based on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 in his Dohak poetry[道學詩], which is a significant achievement in that it showed new changes to Dohak poetry in the 18th century.

한국어

荷棲趙璥詩의 특징은 우선 신선, 꽃의 신, 귀신, 朱鳥, 龍등 신이한 존재가 등장하는 환상적 내용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하서가도 학의 정치이상과 사회 현실 사이에 존재하는 커다란 간극을 인식하고 그로 인한 悲哀를 표출한 것이라 생각된다. 물론 그가 당대 현실을 비관적으로 바라보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그의 시에는 여느 도학자의 시처럼‘봄’이라는 상징이 출현하는데, 이는 절망 속에서도 세상에 대한 낙관적인믿음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드러낸다. 그는 자연물을 형용함에 있어 그 배후에 놓인 우주의 理法과 함께 자연물 자체의 活處를 선명하고 예리하게 묘사하였다. 조선전기 도학자들이 궁극적으로 天理와 本性의 體認이라는 주제를 겨냥한 데 비하여 그는 사물의天機를 묘파하는 쪽으로 시세계를 더 확장했던 것이다. 특히 山水의 精神을묘사한 시들은 강인한 힘과 역동적인 운동을 형상화 함으로써 쇠잔해가는 세상에서 용맹스럽게 전진하려는 인생태도를 암시하였다. 자연물의 天機에주목한 하서는 새로운 매화의 형상을 그려냄으로써 더욱 풍부하게 자신의人生理想을 제시하였다. 이전의 매화시와는 달리 하서의 매화시에서는 매화의 모습이 도를 체득한 道人의 형상, 동시대인을 감화시키는 大人의 형상, 그리고 天機를 발현한 處士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어두운 사회 현실을 의식하면서 매화의 모습을 道人과 大人의 형상으로 그려냈다는 점도 특이하지만, 매화를 天機를 발현한 존재로서 묘사하였다는 점은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이다. 이는 天眞한 인격에 대한 지향과 그러한 인격의 상실에 대한 두려움을 동시에 드러내어 인간적인 자아 형상을 선명하게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 하서는 당대의 천기론적 사유를 도학시 창작에 수용하여 보다 인간적이고 현실적인 人格理想을 창조했던 것이다. 이는 18세기 도학시의 새로운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라 할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Ⅱ. 道學詩 創作의 背景
 Ⅲ. 道學詩에 나타난 天機發現樣相
  1. 自然物및 山水의 精神 發現
  2. 梅花의 天機 流露
 Ⅳ. 맺음말
 <참고 문헌>

저자정보

  • 柳浩珍 류호진. 고려대학교 한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