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찰벽화 재질 및 상태에 대한 과학적 분석ㆍ조사 연구 - 직지사 명부전 벽화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Materials and Condition for Buddhist Wall Painting - Focusing on Wall paintings of Judgement Hall in Jikji Temple -

이경민, 이화수, 김미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dismantling the Judgement Hall of Jikji Temple in 1970's, total 9 wall paintings were disassembled and have been stored for the last 30 years.Among these paintings, two wall paintings(Gosainmul-do and Yeonhwa-do) were analyzed and investigated with scientific method, in order to identify the condition and structure of wall paintings and their material characteristics. This is to use the data for the research in future on preserva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wall painting based on visual and microscopic inspection, it was found that it followed the typical construction method of temple painting in Joseon Dynasty, where the building was built with clay wall on a laths foundation. Based on infrared analysis, it was also found that old script or a painting has existed, other than the currently visible paintings. However, there was nothing significant. 3D scanning was carried out to record 3-dimensional damage shape. Its damage was clearly identified and put on record. In order to verif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wall painting,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pigments that consist colored layers, an additive fiber and soil that was used to construct walls. XRD analysis found that Quartz, Illite and Albite are the main minerals in soil. Besides, it was also possible to see that the wall was built by mixing clay with sands.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for the wall of Inmul-do was about 67% of clay&silt and 33% of sand, which shows that mud is two times more than sands. Yeonhwa-do also showed the similar ratio with 47~56% of clay&silt and 44~53% of sands. As a result of FT-IR analysis on the additive fiber that is mixed with soil paste, a peak was detected, similar to the spectrum of carbonized rice straw.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rice straws were used mixing with soil paste. To verify the components of pigments, XRF, XRD and SEM-EDS analysis were carried out. It was found that lead white was used for white color, minium was used for red color, malachite was used for green color, and celadonite was used for background color. Also, the condition of deteriorated color layer was identified with the measurement of chromaticity for each color of wall painting.

한국어

1970년대 직지사 명부전 건물 해체 당시, 총 9점의 벽화가 해체되어 30년간 별다른 조치 없이 외부 환경에서 보관되어져 왔으며, 이 중 고사인물도와 연화도 2점의 벽화를 대상으로 과학적 조사 방법 및 분석을 실시하여 벽화의 상태와 구조를 파악하고 재질 특성을 규명하여 보존을 위한 선행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육안조사 및 현미경조사를 통해 벽화의 구조를 파악한 결과 외가지를 골조로 하여 흙으로 벽체를 조성한 전형적인 조선시대 사찰벽화 제작 기법 양식을 따르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외선 조사를 통하여 현재 관찰되는 도상 이외에 과거의 묵서 혹은 그림 등의 존재여부를 확인하였으나 특이사항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3D영상 스캐닝 조사를 통하여 입체적인 손상 형태를 기록하고 손상 수치를 명확히 파악 및 기록화 하였다. 벽화의 재질 특성 규명을 위해서 벽체 조성에 사용된 토양과 첨가제인 섬유보강제, 채색층을 이루고 있는 안료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토양에 대한 XRD 분석 결과 석영(Quartz)과 일라이트(Illite), 장석류(Albite)가 주 구성 광물로 검출되어, 벽체 제작 시에 점토를 모래와 함께 혼합하여 벽체를 제작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인물도 벽체의 입도분포비는 점토 및 실트가 약 67%, 모래가 약 33%로 진흙(Mud)의 비율이 모래에 비해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화도는 점토 및 실트가 47~56%, 모래가 44~53%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흙 반죽에 혼합된 섬유보강제에 대하여 FT-IR분석을 실시한 결과 탄화 볏짚의 스펙트럼과 유사한 피크가 검출되었고, 이는 볏짚을 토양반죽에 혼합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안료의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XRF와 XRD, SEM-EDS분석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 를 비교 고찰한 결과 백색안료는 연백, 적색안료는 연단, 녹색안료는 석록(Malachite), 바탕색 안료에는 녹토 또는 뇌록(Celadonite)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벽화의 안료별 색도 측정을 통해 채색층 열화 상태를 파악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현황
 Ⅲ. 벽화 상태 및 구조 조사
  1. 벽화 상태 조사
  2. 벽화 구조 조사
 Ⅳ. 구성물질의 재질특성
  1. 벽체의 토양
  2. 섬유보강제
  3. 채색안료
 Ⅴ. 고찰
 Ⅵ. 맺음말
 감사의 글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민 Lee Kyeongmin.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화수 Lee Hwasoo. 건국대학교
  • 김미정 Kim Mijeong.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