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畵僧 錦湖堂 若效의 佛畵 硏究

원문정보

Research on Buddhist Paintings of a Monk Painter Geumhodang Yakhyo(錦湖堂 若效)

화승 금호당 약효의 불화 연구

김소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eumhodang Yakhyo(錦湖堂 若效) was a painter monk who was activ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He produced more than an hundred Buddhist paintings starting from 'Painting of the Sakyamuni Buddha Preaching' of Bongnyeong Temple in 1879 and up to 'Painting of the Sakyamuni Buddha Preaching' of Singeum Hall at Magok Temple in 1924. Indeed, this is the largest number of paintings produced compared to his contemporary painter monks such as Cheolyu, Eungseok and Chukyeon. Further, approximately 70% of his works are concentrated in the province of Chungcheong although Yakhyo's works are also found nationwide including provinces of Gyeonggi,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sang. Since the Buddhist paintings of Chungcheong province prior to Yakhyo's activity were mainly produced by painter monks from other regions such as Uigyeom(議謙), Yuseong(有誠) and Sanggyeom(尙謙), the appearance of Yakhyo in the late 19th century is noteworthy in the history of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Chungcheong province. Thus, it is clear that Yakhyo is an important figure in the research of Buddhist paintings of this period. Examining from the extant works of Yakhyo, he worked as an assistant painter monk from 1878 to 1882 and after that served as a master painter monk from 1883 to 1924. During his period as a master painter, Yakhyo traveled around various regions to produce Buddhist painting works. As a result, he was able to apply preceding iconography from paintings of other regions into his own works such as 'Painting of the Nectar King(1893)' and 'Painting of the Amitabha Paradise(1893)' of Hogukjijang Temple. On the other hand, Yakhyo also established his unique iconography in paintings of the Mountain Guardian and the Pratyeka-Buddha which can be identified across his works on the same subject. Notably, a change in Yakhyo's painting style occurred around 1890. While works prior to 1890 show Yakhyo's unique style based on traditional representation of Buddhist painting, works after 1890 show that Yakhyo's style coexists with Western painting style. However, since Yakhyo's unique style which emphasizes the traditional representation is still maintained in his individual works, one can infer that western painting style identified in his later paintings belongs to other painter monks who co-produced the works with Yakhyo. After around 1900, Yakhyo as the master painter was in charge of producing all the paintings in large-scale Buddhist painting projects. It seems like Yakhyo himself mainly engaged in a few paintings and allowed other highly skilled painters such as Jeongyeon(定蓮) and Munseong(文性) to undertake the rest of work. By giving opportunities to painters skilled in Western style painting metho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Buddhist painting projects, it is clear that Yakhyo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time of shift of Buddhist painting into the modern period. As demonstrated in Yakhyo's works, a variety of styles is shown in a single work as most of Buddhist paintings are conducted as a joint work of several painter monks. However, individual painter monk's style had been defined as a school, which is understood as a group who shares and inherits a specific painting style. After the 18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the scope of painter monks' activity expanded, facilitating exchanges among painter monks. Further, painter monks produced their works under the influence of not a single master but of many different painter monks as they traveled afar or moved to nearby temples after having gained basic painting skills from their mast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be more critical regarding the view which regards all the diverse painting styles seen in Yakhyo's painting to be of his own and defining it as the school of Yakhyo or Yakhyo's painting style.

한국어

錦湖堂 若效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활발하게 활동한 화승이다. 약효는 1879년 봉영사 <석가설법도>를 시작으로 1924년 마곡사 심검당 <석가설 법도>에 이르기까지 100여점이 넘는 불화를 제작하였다. 이는 동시기 활동한 喆侑나 應釋, 竺演 등의 화승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많은 수이다. 또한 약효의 작품 은 서울・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전국에 남아 있지만, 그중에서도 약 70%가량이 충청도에 집중적으로 남아 있다. 약효가 활동하기 이전의 충청도의 불화는 특정화승이 없이 義謙, 有誠, 尙謙 등 타 지역 화승들에 의해 제작되었기 때문에, 19세기 후반 약효의 출현은 충청도 불화불사에 있어 매우 주목되는 점이 다. 따라서 약효는 이 시기 불화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화승임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약효의 작품을 살펴보면, 1878년부터 1882년 무렵까지는 화업을 시 작한 보조 화승 시기이며, 1883년부터 1924년까지 수화승으로 활동한 시기이다. 수화승 시기에 약효는 여러 지역으로 불화불사를 다녔으며, 그 결과 호국지장사 <감로왕도(1893)>, <아미타정토도(1893)>와 같이 타 지역의 선행도상을 수용하 여 작품에 활용하게 되었다. 또한 약효는 <산신도>나 <독성도>처럼 자신만의 독 자 도상을 확립하고 이를 동일 작품에 활용하기도 하였다. 특히 약효의 작품은 화풍에 있어서 1890년경을 전후로 변화가 나타나는데, 1890년 이전은 전통 불화를 지향하는 약효만의 독자 화풍이 나타나며, 1890년 이 후 부터는 약효 자신의 화풍과 함께 서양화법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여전히 약효가 단독제작하는 작품에는 전통성이 강조된 약효만의 화풍이 확인되 므로, 서양화법은 동참화승들의 화풍임을 알 수 있다. 1900년경 이후부터 약효는 대규모 불화불사에서 자신은 수화승으로서 모든 불 화를 진두지휘하며, 몇 작품의 제작에만 집중적으로 참여하고, 나머지 작품들은 이미 수화승으로서 기량이 있었던 定蓮, 혹은 文性 등에게 위임하였던 것으로 보 인다. 따라서 약효는 자신의 작품에 서양화법과 음영법을 지닌 화승들이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자리를 내주어 근대기로 이행되는 불화의 교두보적 역할을 하였음 을 알 수 있다. 약효의 불화에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불화는 여러 화승들에 의한 공동 작업으로 제작되므로, 작품에는 다양한 화풍들이 나타난다. 하지만 각각의 화승들의 개 성을, 특정 화풍을 공유하고 계승하는 집단의 의미인 流派(school), 혹은 畵派로 규정지어 고정화하고 있다. 조선시대 18세기 이후는 화승들의 활동범위가 확대 되어, 화승들간의 교류가 활발한 시기였다. 또한 화승들은 스승으로부터 수업을 받은 후 어느 정도 필력이 갖춰지면 인접사찰이나 먼 외지로 다니며 불사에 참여 하는 등 한 화승이 아닌 다양한 화풍의 화승들의 영향 속에서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러므로 약효의 불화에 나타나는 다양한 화풍을 모두 약효의 화풍으로 묶어 이 들을 하나의 유파 또는 화파로 보는 것을 보다 신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약효의 생애와 작품 현황
  1. 생애
  2. 작품 현황
 Ⅲ. 불화의 특징
  1. 화면 구성
  2. 도상적 특징
  3. 표현과 기법상의 특징
 Ⅳ. 19세기 후반 麻谷寺 畵僧 集團의 형성과 若效의 역할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소의 Kim Soeui.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