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佛石製 佛像의 등장과 유행

원문정보

Appearance and Trend of Stone Buddha(Zeolite Buddha Statues) in the Regions of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불석제 불상의 등장과 유행

이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like other regions of the country, Gyeongsang Province created overwhelming numbers of stone Buddh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is critica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draft for researching the stone Buddh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by understanding the overal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Buddh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one Buddha were made with zeolites that were produced from the surrounding areas of Guryongpo. In the Buddhist sculpting, the zeolite is called as Buddha Stone because its usage of creating a Buddha statue. It is assumed that the term was already widely used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stone Buddha in the late Joseon period shows similarities with those of early Joseon period, interestingly the patterns as such as iconography, mudra, and storage also has strong relevance. In terms of appearance of zeolite based stone Buddha, we shall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upper time limit as far as Goryeo period considering the Goryeo period's stone bodhisattva statue excavated out of Goseung County, Gangwon Province; however. The extensive trend of stone Buddha statue for Gyeongsang Province began in 1648 with the stone statue in Yaksajeon(Hall of healing, Bhaisajyaguru), Tongdo Temple and full scale production started in the 1670's and 1680's. Gyeongsang Province's wide trend of stone Buddha is assumed to be related with a worsening of lumber shortage. During the time, Gyeongsang Province had the largest share of forbidden deforestation areas. Therefore, it was inevitable situation to look for other resources such as Buddha Stone which was produced out of Gyeongsang Province that could replace the lumber usage. There were many Buddhist sculptors in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only 10 or so stone sculptors are known today. It started with Nahheum who created Yangsan Wonhyoahm's stone Buddha statue and was followed by Dowoo, Nokwon and Seungil who were active in the 1650's and 1660's. In the 1670's and 1680's, Gyeongok, Seungho, Saeknan, Choongok, Mhail and Gyeongtan were active. Based on their activities, these monk sculpto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irst group is those who continuously created the stone statue using the zeolite after having a training period to create either the wooden or stone Buddha statue in the regions of Gyeongsang Province and representative sculptors are Nahheum, Gyeongok and Seungho. Second group is those who created a stone statue for awhile and returned back to create a wooden statue and representative sculptors are Nokwon, Dowoo, Saeknan, Choongok, Mhail, and Gyeongtan. Third is Seungil, he peculiarly created both of wooden and stone statues. Seungil was a member of Hyeonjin School which was continuously active in the Gyeongsang Province and played a leading role within the region from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zeolite stone Buddha statues has a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 to other stone sculptures, for example, granite. The cause is that it has a distinctive sculpting method of injecting sufficient moisture into the stone. In other word, the stone is softened and it could be sculpted as a lump to emphasis on the mass in order to expose crudeness and weight. Also, in terms of expressing on the dress wrinkles and face, it has a characteristic of exposing a flat structure or details like a thin layer.

한국어

조선후기 경상도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석조불상이 조성되었는데 이는 경상도지역 불교조각의 지역성과 다양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논문은 석조불상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과 특징을 파악해 봄으로써 조선후기 석조불상 연구에 대한 시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선후기 석조불상은 ‘불석(zeolite, 沸石)’으로 제작되었고, 이 돌은 경상북도 구룡포를 중심한 지역에서만 산출된다. 불교조각에서는 불상을 만드는 돌이라는 의미에서 ‘불석(佛石)’이라 부르고, 이 용어는 19세기 초에는 이미 통용되고 있었 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후기 석조불상은 이미 조선전기부터 조성되었으며, 흥미롭게도 전기의 석 조불상은 도상(iconography), 수인(mudra), 보관 등 양식적 특징이 이 시기와 관 련이 매우 깊다. 그러나 불석재(佛石材) 석조불상의 등장은 고려시대 작품인 강 원도 고성군 출토 석조보살상을 통해 상한시기가 고려시대까지 올라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상도지역 불석 불상의 유행은 1648년 통도사 약사전 석조불상 을 시작으로 1670․80년대에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1640년대 불석제 불상의 재등장과 유행은 목재부족현상이 심화된 것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이 지역은 목재의 채벌을 금한 금산(禁山)이 가장 많았던 곳이었다. 따라서 목재를 대신할 재료로써 경상도지역에서 산출되는 불석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후기는 많은 조각승들이 활동하고 있었지만 석조불상을 조성한 조각승은 현재 10여명 정도가 알려져 있다. 1648년 나흠이 조성한 양산 원효암 석조불상을 시작으로 1650․60년대에 활동한 도우, 녹원, 승일, 승일, 1670․80년대에는 경 옥, 승호, 색난과 충옥, 마일, 경탄이 활동하였다. 이 조각승들은 활동상 3가지 유 형으로 구분이 가능했다. 첫째는 나흠, 경옥, 승호와 같이 목조불상과 혹은 석조 불상의 수련기를 거쳐 경상도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불석으로 석조불상을 만드는 그룹이다. 다른 하나는 잠시 동안 경상도지역에서 석조불상을 조성하고 다시 목 조조각승으로 돌아가는 녹원, 도우, 색난, 충옥, 마일, 경탄의 그룹이다. 그리고 특이하게 목조와 석조를 모두 조각한 승일이다. 특히 나흠, 승일, 경호, 승호는 경상도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한 현진파와 관련된 인물들이며, 이 유파가 임란 이후 17세기부터 경상도 지역 불교조각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불석제(佛石製) 불상은 돌에 습기를 주입하여 조각사는 독특한 조각기법 때문 에 이 석재만이 가지는 조형적 특징이 있다. 즉 돌이 무르기 때문에 덩어리로 조 각하여 전체적으로 돌의 질량감이 강조된 투박함과 무게감이 드러나며, 옷주름, 얼굴 등을 표현함에 있어 평면적이거나 얇게 빚은 듯한 회화적 섬세함으로 드러 남을 들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성현황과 불석의 수급지
  1. 조성현황
  2. 불석의 수급지
 Ⅲ. 조각승과 불상작품
  1. 懶欽
  2. 道祐
  3. 鹿元
  4. 勝日
  5. 敬玉
  6. 敬坦
  7. 勝浩
  8. 色難ㆍ忠玉
  9. 摩日
 Ⅳ. 불석제 불상의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희정 Lee Heejung. 문화재청 문화재감정관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